Categories
Reviews

Paresh Chattopadhyay, Studies in Marxism

Marx is a disregarded author. The systematization of his critical theory, the impoverishment which has accompanied its divulgation and diffusion, the manipulation and censorship of his writings and their instrumental utilisation for political ends have rendered Marx incomprehensible.

The new historical-critical edi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Marx and Engels — Marx-Engels Gesamtausgabe (MEGA) — aims to restitute integrally the writings of the two authors, originally left incomplete and, in large parts, still unpublished.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Marx’s work. The volume under consideration contains the results of the most recent research in this regard by some of to-day’s leading Marx scholars presented at a conference under the same title at Naples (Italy) in April, 2004.

Musto’s ‘Introduction’ to the collection offers the proper spirit of the new MEGA.

In spite of the enormous spread of Marx’s work and its mutation into Party-State ideology, there has not been till now an integral edition of Marx’s work. After Marx’s death an attempt at systematisation of his originally incomplete works was undertaken by Engels — especially by his publication of Capital, volumes two and three. Later the systematisation was rigidified as ‘Marxism’ mainly by Kautsky, further enhanced by the Russian Marxists ultimately appearing as ‘Marxism-Leninism’. Now, thanks to the new MEGA Marx’s works re-emerge in their original form.

After the ‘Introduction’ the papers a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1) the new MEGA, (2) critique of philosophy and politics in young Marx, (3) Capital, ‘the incomplete critique’, (4) Marx to-day. In what follows we first give a résumé of the content before proceeding to offer a few remarks on the multidisciplinary papers, given our own limitations.

Content

The first section begins with an excellent presentation by M. Neuhaus ‘Classic among the classics’ on the tortuous trajectory of the work of publication of the texts of Marx and Engels starting with the great work of David Riazanov which laid the historical-philological basis and created a whole scholarly edition of Marx-Engels editing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MEGA. The rise of the Nazi power and Stalin’s increasing terror — liquidating Riazanov along with his associates in the process — interrupted the MEGA work. The work recommenced in 1960s and 1970s in Moscow and Berlin under the auspices of the ruling Party. As regards the editorial principles of the new MEGA there was the postulate of completeness. Only a complete reproduction of the entire literary bequest of Marx and Engels was aimed at, both hitherto published and the unpublished — the latter just as they were left by their authors. However, the editors were placed in a difficult situation: balancing between the Party line and the demands of rigorous scientific editorial work. This tension could only end after 1989. After a short period of uncertainty faced by the project, the International Marx-Engels Foundation (IMES) was established in 1990 conjointly by the Institute of Social History (IISG) of Amsterdam and the Trier Karl Marx House of the Frederick-Ebert Foundation. Later MEGA became a part of the academic programme and was accepted as a project of the Berlin Brandenburg Academy of Sciences (BBAW). Most importantly the new MEGA was finally de-politicised and de-ideologised particularly as regards the editorial comments. Marx’s place among the great classics of European scientific thought has finally been restored. Neuhaus ends his excellent presentation by underlining the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faced by the editors in bringing out an authentic edition of the works of the two authors.

G. Hubmann, in his important work of solid scholarship, ‘Incomplete Classics’, discusses the mode of editing the (German) classics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and compares this with editing the works of Marx. Hubmann takes the cases of some great authors. Thus the edition of Hegel’s works — considered standard for a long time — contains some texts which were in fact created by his students and followers after his death from his lecture notes and sketches. Only now have Hegel’s authentic texts seen the light of the day in a historical-critical edition. Mutatis mutandis the same fate befell Max Weber’s Economy and Society, passing for a finished work, only corrected now in a new edition. The same goes for the works for Nietzsche and Burkhardt. Contrary to the new editing and publishing style, aptly called by Hubmann ‘philological deconstruction’, the earlier style aimed at completion and readability of the works left unfinished by the authors often following their presumed intention. Engels’s editorial work on Capital followed this conception.

In his article ‘Research on Marx in Japan’ I. Omura gives a neat presentation of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Marx and Engels and translation of their writings, particularly centred on the MEGA work group at the University of Sendai.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the works of Marx and Engels, starting in 1904 reflects the history of the influence and spread of Marxism in Japan. In 1975 the complete works of Marx and Engels on the basis of the German editionMarx-Engels Werke (MEW) appeared in translation. After 1975 the translation of manuscripts of Capital, appearing in the second MEGA has continued. The Sendai group took charge of the second MEGA edition.

M. Sylvers in his article ‘Correspondence in MEGA’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Marx and Engels as well as their own correspondence with others –altogether 15000 letters. Sylvers stresses the great importance of the correspondence not only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thought and political activities of the two authors but also as an indispensable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dating and progress of their work.

G. Mario Bravo discusses in his excellent paper ‘Marx and Marxism in the Early Italian Left’ the diffusion, popularisation, vulgarisation of Marx and Marxism in Italy. The culture of Marx and Marxism progressed in Italy from a modest beginning where Labriola’s contribution was exceptional. Expansion and popularisation of Marxism took place notably between 1871 — facilitated by the work of the First International and the Paris Commune — and the start of the Fascist régime. There were all kinds of personalities, associations and parties of different tendencies in this process. The result was a Marxism devalued and rendered economicist — the exception being Labriola. In the first years of the twentieth century Italy saw a schematic, deterministic Marxism which nevertheless was able to attribute an identity to the workers’ movement. Beginning with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there arose a new breed of Marxists –Bordiga, Serrati, Gramsci for whom the history of Marxism was confounded with the history of socialism.

In the second section of the collection M. Cingoli’s paper ‘Marx and Materialism’ offers a three phase presentation of Marx’s changed position on materialism in his early years. The first is marked by the influence of romanticism, and Naturphilosophie, critique of materialism, preparation for his doctoral dissertation, articles in the Rheinische Zeitung, the second phase saw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while the third saw the Parisian manuscripts of 1844 and the Holy Family.

P. Thomas’spaper ‘The Carnival of Philosophy’ is a fine, neat presentation of Marx’s doctoral dissertation on Democritus and Epicurus. He shows Marx’s rejection of Hegel’s denigration of Epicurus as a post-Aristotelian minor philosopher. Thomas also forcefully argues against the idea that Marx’s materialism starts with his thesis.

G. Cacciatore’s ‘The democratic Marx’ offers a three-level analysis of the concept of democracy in Marx — historical-philological, philosophical, and political where the first is left out by him. During the early part of 1842-43 Marx, following Hegel, considered the state as the juridical-formal expression of the general interest. Only starting with his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Right (1843-44) Marx confronts the problem of democracy directly where he attacks Hegel’s devaluation of sensuous reality and Hegel’s inversion of the subject-object relation. It is finally with the German Ideology (1845-46) that there occurs Marx’s radical rupture with Hegel’s ‘pantheistic mysticism’ and his passage from liberal-democracy to communism.

M. Musto’s important contribution ‘Marx in Paris: the Critique of 1844’ deals with Marx’s Parisian manuscripts. It was only in Paris that Marx started to study political economy seriously with a stimulus from Engels’s earlier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Backed by an enormous amount of study and research Marx’s guiding principle was to demystify (bourgeois) political economy. In these manuscripts Marx particularly dwells upon the problem of ‘alienated labour’.

G. Borrelli in his contribution ‘Politics of the Communists in Marx’s early writings’ underlines the centrality of Marx’s writings between 1843 and 1852. He classes Marx’s intellectual work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from the Hegel-critique (1843) to EighteenthBrumaire (1852), the second between mid fifties and the end of sixties marked by the dominance of Marx’s economic writings and the third characterised by intense political work where the The Civil War in France (1871) and The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me (1875) stand out. The author focuses on the third.

S. Kouvélakis’s ‘Marx and the Critique of Politics’ dwells on Marx’s early political theory in light of his Civil War in France (1871). The experience of the Paris Commune allowed Marx to rectify a certain number of earlier elaborations leading him to conclude that the 1789 French Revolution could not be repeated but could only be surpassed by a new revolution whose historical actor would be the proletariat, and that this revolution must destroy the state. Also the question of proletarian power was rethought.

R. Finelli starting the third section with ‘The Science of Capital as the “Circle of Prepositing-Positing”’ advances several propositions. He holds that the trajectory of German idealism from Fichte to Hegel led to a new criterion of truth in the theory of knowledge which the author calls the ‘circle of prepositing-positing’. Marx’s Capital precisely realised this new scientific paradigm. On this point the analogy between Marx and Hegel is as profoun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 his paper ‘A Transubstantiation is haunting’ G. Reuten claims to offe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opening three chapters of Capital, I. Value’s introvert constituent is abstract labour in Chapter One while its extrovert constituent is money in Chapter Three. After introducing the concept of value-form in chapter one, Marx only occasionally uses the term, because this concept is concretised in money. Similarly ‘abstract labour’ after appearing in section one of Capital I as ‘simplified constituent of value’ almost disappears subsequently.

In his essay ‘Marx’s Capital and Hegel’s Logic’ C. Arthur aims to establish a correspondence between Marx’s Capital and Hegel’s Logic centring on Marx’s ‘exchange value’.

R. Bellofiore, in his article ‘Marx after Hegel’ envisages a ‘reconstruction of the Marxian (economic) theory’ which assumes a macroeconomic optic and emphasises that the capitalist process is a monetary sequence with bank money opening the circuit. This necessitates the abandonment of the theory of money as a commodity.

In his essay ‘Hegel, Schelling and Surplus Value’ E. Dusseladvances two theses: (1) Necessary relevance of Hegel’s Logic for Marx’s Capital and (2) Marx’s reconstruction of Hegelian categories in Capital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chelling’s way of viewing ‘surplus value’ appearing to capitalists as coming ‘ex nihilo’.

J. Bidet,in his paper ‘The Metastructural Reconstruction of Capital’, underlines that in Marx concepts such as value and surplus value are double faced — economic and juridical-political. Marx proceeds from commodity to the organised form — that is, socialism unaware that market and organisation are the two structural poles of capitalism. Thus Marx recognised two faces but not two poles. Marx also shows ambiguity on the question of ‘logical-historical.’

In his important, densely argued paper ‘Marx’s Process of Learning’ F. W. Haug considers the reproach addressed to Marx by some of his Hegel oriented readers that Marx’s trajectory of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starting with the 1857-58 manuscripts and ending in his Marginal Notes on Wagner is a story of gradual regression, diluting his dialectic and popularising his work. At stake is the conception of the dialectic itself. Marx had effected a paradigmatic change both in philosophy with his ‘new materialism’ and in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This paradigmatic change is neither a symptom of decadence nor a sign of an exercise in vulgarisation.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s not a ‘system’ but a process of research and a process of learning of the researcher.

Opening the fourth section with his well worked and fine presentation ‘The Renewal of Political Economy’, M. Krätke stresses the irreplaceability of Marx in the process of renewing political economy. The author underlines that in the face of grossly unsatisfactory response of the conventional neo-classical economics to the economic problems of to-day, there is a revival of political economy where Marx’s ‘critique’ is not much in evidence. For the author Marx’s was a critique of economic categories in general and not of singular errors of singular theories. Similarly this critique, not limited to particular aspects of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embraced its totality as well as its logical historical limits. However Marx has also left a number of problems with inadequate or no solution.

In his interesting paper ‘Why propose a finite communism?’ A. Tosel aims at a reformulation of the problematic of communism which is a result of a critical analysis of the Marxian theme which defines post-capitalist production as absolute production. In Marx’s early work he had precisely criticised Hegel’s substitution of finite human individuals by the absolute and infinite Idea. However in hi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Marx has the opposite stand. In communism the associated form replacing capital shows itself as the new infinite principle à la Hegel. It is time to develop the other Marxian concept of communist negation of capitalism, the determinate negation.

D. Jervolino,too, in his lucid presentation ‘Communism of Finiteness’ focuses on a vision of finite communism. Marx’s vision of a world of humans producing the historical world while producing themselves is also shared by the philosophy of modernity which goes back to Bacon who pioneered this idea encapsulated in his phrase ‘knowledge is power’. However, in reality, ‘everything is possible for the human’ has turned out to be ‘everything is possible over the human’. As opposed to the paradigm of production following a certain reading of Marx, Marx could also be read following the paradigm of finiteness.

In his article ‘Marxism, Globalisation and the Historical Balance sheet of Socialism’ D. Losurdo discusses the problems encountered by the builders of socialism in relatively backward lands faced with the globalisation of capital. Contrary to the earlier Marxian idea of building socialism abstracting from external obstacles, in to-day’s context of capital’s globalisation a country like China embarking on socialist construction has to compromise with capitalist countries in order to benefit from advanced technology without giving rise to a ‘new bourgeoisie. ’ In this regard Losurdo reproaches the Left critics who in the name of individual freedom condemn the socialist regimes.

In his interesting narrative ‘Contours of Anglo-Saxon Marxism’ A. Callinicos traces the trajectory of Marxism in Britain and the USA. Undistinguished before 1960s, Marxism underwent positive developments beginning with 1960s. In Britain New Left Review played in this an important role. In the USA the Frankfurt Schoo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radical youth. In Britain Althusser exercised a certain influence on the youth along with Trotskyism thanks to Deutscher and Mandel. Then in 1980s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Anglo-Saxon Marxism suffered a downturn However, an important development in Britain was the appearance of the journal Historical Materialism.

The collection ends with a knowledgeable and fine paper,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Marx in China’ by Wei Xiaoping which neatly outlines the trajectory of Marx studies in China since 1949. This period has seen two editions of the works of Marx/Engels in Chinese — the first, a translation of the ‘Collected Works’ during 1956-1985 from their Russian version and the second a translation — in progress — from the original German of the second version of the MEGA. There is now a tendency among the Chinese scholars to move away from the USSR’s ‘simplified’ and ‘dogmatised’ Marxism to the original texts of Marx and Engels, partly also stimulated by what a number of them consider as the closeness of Marx’s writings on alienation (1844) and early capitalism in Capital vol. I to the contemporary events in China. There is also a tendency to consider Marx as outdated.

Observations

In this section we offer a few remarks — given our own competence and limitations — on the specific issues in some arbitrarily selected papers which we find thought provoking and/or problematical. Excluded from this purview are particularly those papers which by their very nature do not require any comment. We mean basically the narratives (or those more narrative than analytical) in the collection — excellent in themselves — like those of Neuhaus, Omura, Bravo, Callinicos and Wei Xiaoping. Our remarks do not exactly follow the order in which the papers are presented in the collection.

We start with Musto’s fine Prologo. He should be praised for raising an important issue almost alone in this collection namely that Marx is unique compared to the other classics in that in him there is an indissoluble bond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round a concrete aim: real movement for abolishing the present state of things by overturning the existing social relations. Relegating Marx to the role of a mummified classic of the past who has nothing to do with the daily struggles of the present will be making Marx play the same mummifying role as that which was assigned to him by the Party-State. The unmatched critic of capital remains fundamental for capital’s abolition (pp. 23-24). Having said this we have to register a couple of reservations regarding certain of Musto’s statements. These basically concern Engels. In connection with what he considers as Engels’s contribution to the ‘process of systematisation’ of Marx’s work, Musto refers to Engels’s statement that his Anti-Dühring was ‘a more or less unitary exposition of the dialectical method and communist world view represented by Marx and myself’. Now, first, in this statement Engels used the term ‘coherent’ ( zusammenhängend) and not exactly the stronger term ‘unitary’ which would be in German einheitlich. However, a more important point about this 1885 ‘Preface’ is Engels’s declaration:

Since the conception exposed here was in its much bigger part founded and developed by Marx and in the smallest part by me, it was self understood between us that any exposition here could not be done without his knowledge. I have read to him the whole manuscript before its printing.

Again, according to Musto ‘Engels’s recourse to natural sciences opened the road to the evolutionist conception’ which would be affirmed in the workers’ movement, and added correctly that in the cultural climate of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Marx’s thought was pervaded by Darwinism. However, if evolutionism means, as the dictionary says, a progressive view of social change without discontinuity, then it is not clear how Engels could have an evolutionary outlook any more than Marx. Musto has not given any textual evidence. We could only say that there was hardly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friends — in praise and in criticism — on Darwin.

In his important paper Hubmann very justly reproaches the decades-long unilateral ‘statist interpretation’ of Marx’s materialism. He raises a very important point — the possibility of non-correspondence between the artistic and the material production of a society — and draws reader’s attention to Marx’s posthumously published ‘Introduction’ (1857) from which he cites Marx speaking of the ‘unequal relation of the development of material production with e. g. artistic production’. Here, according to him, ‘historical materialism reaches its limit’ (p. 63) particularly as regards the relation between basis and superstructure. While we share Hubmann’s criticism of the unilateral interpretation of Marx’s materialism, we submit that Marx’s own remarks on materialism in the same text we find more nuanced. First, the final section of Marx’s text in question poses certain issues like the relation between a society’s art and its stage of material production — which is Hubmann’s concern — in an open-ended, non-definitive way saying that ‘these are not to be forgotten’, Marx might probably have thought of returning to them later. Particularly and more importantly, as to the ‘unequal relation’ in question, Marx nevertheless views it in a specific social context namely, that the ‘Greek art and epic are linked with a specific form of social development’ and he adds that this Greek art far from being in ‘contradiction with the underdeveloped stage of society’ rather shows that it ‘could arise only under immature social conditions.’Secondly, in this text Marx speaks literally of the ‘dialectic of the concepts: forces of production and relations of production’ and the need of ‘determining the limits’ of this ‘dialectic’. So, first, there is no mention of materialism here, and, secondly, ‘limits’ here refer to those of ‘concepts’, abstracting from the ‘real differences’. In the Grundrisse (1857-58), too, Marx took a similar position while speaking of the need to correct the idealist way of presentation ‘giving the appearance of the dialectic of concepts’.

Coming to Musto’s paper on Marx’s 1844 ‘Manuscripts’, he should be credited for emphasising an important little-discussed side of this work. From Musto’s paper the ‘Manuscripts’ come out as what they really are — the beginning of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separating Marx apart from (bourgeois) political economy (classical or otherwise). The ‘guiding thread’ of Marx’s work is ‘demystifying political economy’ by showing the historical and not ‘natural’ character of the economic categories, the transitory character of the existing relations of production and particularly stressing ‘alienated labour’ as not at all a human but a specific product of commodity society (p. 164).

In Borrelli’s paper we find a number of points which are contestable of which we take up two important ones. First, regarding future (proletarian) revolution he poses the question, which force could undertake this task, and answers that it could not be the ‘individual political subject’. The ‘figure of subjectivity completely disappears’ from Marx’s writings beginning with the end of 1840s. In its place is affirmed the ‘primacy of collective subject, the working class’ (p. 188). In support of his position Borrelli refers to Althusser, ‘the greatest interpreter of Marx in the twentieth century’ (p. 188). It is surprising that Borrelli, instead of relying on Marx’s own texts for his position depends on Althusser who, we submit, is not the best source for knowing Marx’s texts. In fact one could cite a number of counter examples opposed to this false Althusser-Borrelli dichotomy. In neither of the periods of Marx’s writings mentioned above is it a question of (political) individuals undertaking the revolutionary task. In both it is the working class whose task it is supposed to be. Secondly, in the writings of both the periods individuals do appear as subjects. It is sufficient for our demonstration to refer to texts in the first period showing the working class as the agent of (proletarian) revolution and to texts of the second period where individual appears as subject. One or two specimens should suffice. As regards the first period, in a text (1843-44) Marx, after posing the question: ‘from where comes the positive possibility of German freedom’, answers: ‘from the formation of a class with radical chains.’ In a text composed shortly thereafter Marx (and Engels) write that at a particular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ive forces, where they become destructive forces, ‘a class appears which has to bear all the burden of society without enjoying its advantages, a class from which emanates the necessity of a fundamental revolution.’ As to the second period, in an important text in Grundrisse Marx traces the entire evolution of humanity’s social forms — beginning with classes — around the change in situation of the individual in society: personal dependence (under slavery and serfdom), personal independence together with material dependence (under capitalism) and, finally, ‘free individuality based on the universal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s and the domination of their common social productivity as their social power.’ In his well known ‘Preface’ (1859) while speaking of social revolutions Marx underlines that one must always distinguish between revolutions in material conditions of production and the juridical, political, religious, artistic, philosophical, in short ideological forms in which ‘individuals (Menschen)’ become conscious of this conflict and fight it out.’[xiii] InCapital, vol. 1 Marx speaks of ‘all sided developed individuals,’ [xiv] and of ‘totally developed individuals’, [xv] as well as of post-capitalist society as a ‘(re)union of free individuals’. [xvi] As regards the second point in Borrelli’s paper requiring comment, we refer to his contention (p. 190) that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Marx’s ‘Address’ on the Commune (1871) — stressing workers’ self rule — and his ‘Gothacritique’ (1875), emphasising the need for proletarian dictatorship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capitalism and communism. Here again Borrelli brings in an authority to sustain his position — Hannah. Arendt who allegedly finds ‘between these two writings’ a ‘contradiction left unresolved by Marx’ (p. 190). First a formal point. Arendt, [xvii] while discussing Marx’s ‘Address’ (1871), does not refer to his ‘Gothacritique’. She counterposes this ‘Address’ to another ‘Address’ by Marx (and Engels) delivered to the ‘Communist League’ the date of which she puts by an utter confusion as 1873. This confusion was further confounded by Borrelli with the ‘Gothacritique’ whereas this second ‘Address’ was delivered twenty-five years earlier! Leaving aside this formal error, what exactly is the Arendt-Borrelli objection to Marx? Arendt opposes the (self)emancipatory message of Marx’s 1871 ‘Address’ to the position taken in the 1850 ‘Address’ namely, that the ‘proletariat must work for the most decisive centralisation of power in the hands of the state authority’. [xviii] Now this selective presentation of the 1850 position to oppose the 1871 position totally ignores that in the body of the text of the 1850 ‘Address’ it is the ‘associated proletariat’ which will ‘concentrate in its hands the principal forces of production’. [xix] Hence by ‘state authority’ (in Arendt’s quotation from the text) is meant the ‘associated proletariat’. There is however a much more important point. The statist aspect in this ‘Address’ taken over from the Communist Manifesto would undergo a critical revision by its authors under the great impact of the 1871 Commune as is seen in the 1872 ‘Preface’ of the Manifesto. Moreover one should also note that in the Commune Marx rather saw the vindication of his own consistent anti-state position. Coming to Borrelli’s own (not Arendt’s) opposition between the 1871 ‘Address’ and the ‘Gothacritique’ we submit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workers’ self-rule in the first and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in the second if we remember that already in the 1848 Manifesto the workers’ rule — and not one party rule in workers’ name — is presented as the outcome of the ‘autonomous movement of the immense majority in the interest of the immense majority’, signifying ‘conquest of democracy’ and if we further recall that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refers to a ‘state not in the usual sense of the term’ in Engels’s well-known phrase pointing precisely to the Commune which had no special apparatus of repression. We submit that this is the meaning of Marx’s sentence in the ‘Gothacritique’ that during th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period’ the ‘state can only be (nichts andres sein kann) the revolutionary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xx] In other words, during this period the political power of the proletariat — that is, the proletarian self-rule — can have only this least repressive form (repressive just enough to put down the revolt of the ‘slave holders’, an infinite minority). Most unfortunately Borrelli makes an (inadmissible) amalgam, in this connection, of Marx’s position and the ‘political project of the communists’ (pp. 190-91).

Kouvélakis’s paper invites two quick comments. First, he holds that Marx’s theory of revolution is the antipode of economism and evolutionism which supposed that only the most industrialised countries were mature for a proletarian revolution, which was, according to Kouvélakis, the case of the Second International who could not imagine that ‘Marx and Engels had been able to skip altogether the ‘objective conditions’ and the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 (p. 197). By trivialising through single quotation marks the terms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objective conditions’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and asserting that only the Second International held this position and thereby absolving Marx and Engels from such a ‘sin’, the author has in fact obfuscated the whole materialist conception of history misrepresenting in the process the position of Marx and Engels for which he has not given any textual evidence. Let us simply recall Marx’s classic position on this question: no society founders before all the productive forces that it can contain are developed, and new, higher relations of production never appear before the material conditions of their existence have been created within the old society itself. That is why ‘the humanity sets itself the tasks which it can solve, and the task itself arises where the material conditions of its solution already exist or are in the process of creation’. [xxi] To our knowledge Marx never abandoned this position. Is this not a ‘law of historical development’ from Marx’s point of view? A simpler, less dense version of essentially the same idea appears in the masterly account of Marx’s method by I. I. Kaufman, approvingly and admiringly cited by Marx in his ‘Afterword’ to Capital where Kaufman presents precisely Marx’s ‘law of history’ including ‘the law of motion of capital’. [xxii] To those who (the heroes of the Third International presumably) sought to ‘skip altogether’ the ‘objective conditions’ here is Marx’s reply:

Individuals create themselves a new world out of the historical acquisitions of their foundering world. In course of their development they must themselves first produce the material conditions of a new world. No effort of spirit or will can free themselves from this destiny. [xxiii]

A decade later Marx observed that if in the ‘existing society’ we do not already find the ‘material conditions of production and corresponding relations of commerce in a latent form for a classless society’, then all efforts at ‘exploding it’ would be ‘Donquixotism.’ [xxiv] This is again the message we read in Marx’s ‘Anti-Bakunin’ (1874). Secondly, Kouvélakis states that in his letter to Domela Nieuwenhuis (1881) Marx abandons ‘a definite form of insurrection’ marked by successive ‘journées’ and ‘barricades’ (p. 207, emphasis author’s). This is a surprising statement in as much as this letter at least explicitly contains not a trace of what the author is ascribing to Marx. On the other hand, Kouvélakis carefully avoids the most important thing Marx is doing here — reaffirming his materialist position on social revolution which Marx sums up with a telling algebraic metaphor: ‘we cannot solve any equation if it does not include in its data the elements of its solution’. [xxv] One should note that what Marx is saying here is perfectly in line with his 1859 statement which we mentioned above. It is in this light that Marx judges the work of the 1871 Commune in this letter.

In his paper Reuten claims he is offering a ‘new interpretation’ of Part I of Capital I with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whole work’ (p. 225). He says that ‘in Marx’s view money is a constituent element of value.’ Its ‘introversive constituent’ is abstract labour and its ‘extroversive constituent’ is money (p. 226, emphasis in text). [xxvi] We submit that Marx seems not to see things exactly this way. For him money is not a ‘constituent of value’. Money is rather ‘only a value-form of commodities’ [xxvii] and ’money-form is the finished form of value-form.’ [xxviii] The only ‘constituent’ or substance of value is ‘socially necessary labour’ or, under the commodity production as the social mode of production, ‘abstract labour’. Reuten, critical of Marx’s statement on money as a ‘measure of value’, says that this could mistakenly make one think of the existence of the entity of value independently of the measure that is, ‘independently of money’ (p. 227). Contrary to Reuten’s position, for Marx, value indeed exists independently of exchange value or value-form whose finished form is money-form. Money is the universal measure of value precisely because all commodities are, as values, materialised human labour and hence commensurable between them. ‘Money as the measure of value is the necessary phenomenal form of the immanent measure of value, the labour time.’ [xxix] In a world of use values money’s occupation would be gone.

The problem here is that Reuten does not seem to distinguish value from value-form or exchange value, [xxx] whereas this distinction, clearly made by Marx, is one of the crucial points of difference between Marx and the classics whom Marx faults for not making this distinction. [xxxi] Reuten does not seem to recognise the process of becoming of the money-form or the finished form of value- form. This process is clearly indicated by Marx when, speaking of the ‘difficulty of the concept of money-form’ he recalls the different stages of evolution of the value-form beginning with the ‘general equivalent form’ and going backward to the first or the ‘simple value-form’, and concludes that ‘ the simple value-form is the germ of the money-form.’ [xxxii]

Coming to the substance of value, what Reuten says could be presented in the form of following three propositions: (1) the immanent or ‘introversive constituent of value’ is undifferentiated ‘abstract labour’ (pp. 226-27), (2) there exists no obvious, unique way to measure ‘concrete labour’, the ‘introversive substance of value’, therefore Marx has recourse to the concept of ‘abstract labour’ as the ‘simplified constituent’ of value (p. 229, emphasis in text), (3) ‘abstract labour’ can be measured only if we assume that abstract labour is equal to concrete labour’ (p. 230, emphasis in text). When we analyse these propositions it appears, first, that Marx chose abstract labour rather than concrete labour to be the substance of value because the latter cannot be measured in a unique way. However, secondly, it seems that abstract labour also cannot be measured unless it is equalized with concrete labour. In other words, concrete labour, contrary to abstract labour, is measurable. So concrete labour appears to be both measurable and non measurable. We submit that this dialectic is beyond us. Again, assuming that by ‘constituent of value’ in the first proposition Reuten, following Marx, means ‘substance of value’, then, reading the first two propositions together, one could ask how concrete and abstract labour could both be the substance of value.

We are also told that once we have ‘fully constituted value in the presence of money’, the term ‘abstract labour’ almost disappears from the pages of Capital I (and finds no reference in the other two volumes) (pp. 229, 230). But then the question arises, does ‘abstract labour’ thereby cease to be the substance of value so that we have value simply as form but with no substance?

Reuten does not broach this point. In fact the term itself does not quite disappear. We see this at least in two places beyond Capital I — in the so-called ‘sixth chapter’ of Capital I, [xxxiii] which really forms the ‘transition ‘from volume I to volume II, [xxxiv] and in ‘Anti-Wagner.’ [xxxv] But the more important point is that if one remembers that for a society where ‘commodity production is the social mode of production’ [xxxvi] Marx takes ‘abstract labour’ as equivalent to ‘socially necessary labour’, then one could find the latter, standing for abstract labour as the value’s material substance, in many places in Marx’s work. [xxxvii]. Again, Reuten holds that the ‘term’ ‘value-form’ is “only occasionally used” after chapter I of Capital I because in chapter III the ‘concept’ is ‘concretised in its monetary expression’ (p. 227). Leaving aside the mixing up of ‘term’ and ‘concept’ in the presentation let us note that the ‘economic cell form of the bourgeois society’[xxxviii] isidentically expressed in Marx by the terms ‘value- form’, ‘commodity-form’, ‘exchange value.’ [xxxix] These three terms between them are used after chapter I at least 20 times in Capital I. Let us not be nominalists.

Bellofiore’s paper offers a good aperçu of the three volumes of Capital. However, his effort at ‘reconstructing Marxian theory’ in order to ‘avoid its leeways’ (p. 258) is not without problems.

We have space here only to deal with a couple of them. He starts by affirming that in his reading of Capital, ‘value is the monetary expression of labour alone’ (p. 253, emphasis in text). We submit it would be hard to support this statement on any ‘reading’ of Marx’s published texts. First, value is nothing but that ‘something common (das Gemeinsame)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exchange relation or exchange value of commodities’ and ‘exchange value is the necessary form of expression of value’ whose ‘creative substance is labour.’ [xl] ‘Money-form is simply the finished form of value-form or exchange value’. [xli] Thus, instead of value being the (monetary) expression of labour, value itself — the creative substance of labour — is expressed by exchange value, hence by its finished form, money. Bellofiore’s position, therefore, is an inversion of Marx’s position. His ‘reading’ of Capital seems to ignore the distinction between value and exchange value.

In the author’s project of ‘reconstructing the Marxian theory’ the capitalist process is understood as ‘a sequence of monetary sequence, a circuit opened by bank money’ which has no value. This changed framework ‘necessitates the abandonment of money as a commodity’ (p. 258, emphasis in text). We submit that this is not a proper ‘reading’ of Marx’s monetary theory which is not simply a theory of commodity money. Commodity money in this theory of money is a ‘moment’ though an indispensable and basic ‘moment’ while another ‘moment’ is credit money. Marx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understanding of money as a commodity as opposed to all other commodities. [xlii] The starting point here is that ‘money does not originate in convention or in the state, but spontaneously in exchange whose product it is’. [xliii] To the same extent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products of labour into commodities is accomplished, ‘the transformation of one commodity into money is also accomplished.’ [xliv] Understanding this process is indispensable to comprehend the bourgeois production process itself. ‘It is the foundation of the bourgeois production process’ that money as the independent form of value ‘stands in opposition to commodities’, and this is only possible while a ‘distinct commodity becomes the general commodity in opposition to all other commodities.’ [xlv] This opposition is the ‘abstract and general form of all the antagonisms contained in bourgeois labour.’ [xlvi] Nothing of this profound logic has lost its relevance and lustre with the rise and dominance of credit money which has simply mystified and obscured the basic antagonisms. For all this, however Marx’s theory is not exclusively confined to commodity money. He speaks of ‘things without value, like paper’ functioning as the ‘symbol of gold money’ if its existence as symbol receives a legally sanctioned existence and thereby becomes ‘compulsory currency.’ While state’s paper money, the ‘finished form of the value token’ arises from metallic or simple circulation itself, ‘credit money belongs to a higher stage or higher sphere of the social production process and is regulated by completely different laws.’ [xlvii] Credit money has its ‘natural root in money’s function as a means of payment.’ [xlviii] Marx considers as ‘absurd’ the ‘question whether capitalist production in its present day range would be possible without credit money.’ [xlix] Perfect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credit money in advanced capitalism, Marx nevertheless justifies his assumption of money as metallic money for Capital II on both historical and logical ground (s). Historical, because credit money had little role in the early stage of capitalist production, and logical, by the fact that

everything critical which Tooke and others have so far developed regarding circulation of credit money compelled them to go back repeatedly to the consideration of how would the thing present itself when based on purely metallic circulation. [l]

Though, contrary to his earlier plan, Marx did not (could not) treat credit under a separate rubric he did discuss to a non negligible extent — spread over his work — credit money including the money involved in ‘fictitious capital’ where ‘all connection with the valorization process disappears without leaving any trace.’ [li]

In his excellent presentation — closely argued and quite challenging — Krätke treats a large number of issues concerning Marx’s economic work to all of which unfortunately we cannot do justice, given space constraint. We propose to take up only a few of them for discussion.

According to the author Marx ‘began’ his ‘own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n 1857 (p. 309). We submit that this critique really started in Marx’s 1844 manuscript(s) which Marx claimed to be the result of a ‘wholly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conscientious critical study of political economy.’ [lii] In this first critique while praising Ricardo’s scientific attitude as shown in the latter’s ‘cynical expression’ of the ‘truth of political economy, freed from all human illusion’, as opposed to Sismondi, Marx asserts that ‘humanity exists outside and inhumanity inside political economy.’ [liii] In the manuscripts’ extensive notes on the economists Marx already debates the ‘unresolved questions left by them’, to cite Krätke’s words on Marx’s 1857-58 manuscripts (p. 310) (which — let us emphasise — carry over not a few ideas, sometimes textually, of the earlier manuscripts). Very justly Korsch observes that ‘contentwise’ the 1844 manuscripts ‘anticipate’ all the ‘critical-revolutionary perceptions of Capital.’ [liv] Again, in Marx’s long ‘learning process’ till 1882 an important place belongs to his ‘AntiProudhon’ (1847) where he considers himself (implicitly) as a ‘theoretician of the proletarian class’ as opposed to the ‘economists, the representatives of the bourgeois class.’ [lv] Marx wrote in 1859, ‘The decisive points of our view were first scientifically, even though polemically, indicated in my work against Proudhon’sMisère de la philosophie.’ [lvi] Years later referring to this book Marx observed, ‘it contains in germ the theories developed in Capital twenty years later.’ [lvii]

Krätke says that what Marx calls the ‘secret of critical conception’ did not lie ‘where Marxists had believed it to lie’ — not in dialectic, not in the standpoint of the working class — but in the ‘coherent continuation and correction of the defective analyses and attempts at systematisation’ of the earlier economists (p. 311). However, Marx’s own meaning of this phrase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Krätke’s explanation. In a letter to Engels (8. 1. 1868) Marx says that the ‘whole secret of the critical conception’ lies in his discovery of something which remained ‘inexplicable’ for the classics — the ‘double character of labour represented in the commodity’, following from the double character of the commodity. [lviii] On the question of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as such Krätke holds — after having cited (p. 312) Marx’s 1858 letter to Lassalle where Marx speaks of his work as the ‘critique of the economic categories’ (Marx’s emphasis) — that the real scope of Marx’s project is seen in the fact that for the first time a critique was delivered which attacked not the singular phenomena and results of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but the ‘whole capitalist production relations, capitalism as a specific historical system of social production of wealth.’ (p. 313). All this is admirable. These indeed are some of the important dimensions of Marx’s ‘critique’. One does not frequently find a Marxist academic with such a lucid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Marx’s ‘critique’. However, we submit this is still not the complete coverage of the significance of the ‘critique’. Marx himself came to its full significance through the so-called ‘learning process’. In his 1858 letter to Lassalle, referred to by Krätke, Marx speaks of his economic work as the ‘system of bourgeois (political) economy critically represented.’ [lix] A few years later in a letter to Kugelmann (28. 12. 1862) Marx says that his work is a ‘scientific endeavour to revolutionise science.’ [lx]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this ‘critique’ — its direct relation to the revolutionary ‘mission’ of the working class, Marx’s lifelong occupation — is fully revealed only in the Afterword to the second edition of Capital I, to the significance of which not many readers have paid sufficient attention. Obviously keeping in his mind — which Marx expresses in a number of places — that ‘political economy’ represented the bourgeoisie Marx wrote, concerning his own ‘critique’, ‘So far as such critique represents a class, it can represent that class whose historical mission is to revolutionise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and finally abolish classes — the proletariat.’ [lxi] It is in this spirit that Engels wrote in his review of the first edition of the book, ’Who has eyes to see, sees here the demand for a social revolution…here it is a question of the abolition of capital itself.’ [lxii] Bereft of this dimension there is a risk that Marx’s ‘critique’ could be seen simply as a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from the standpoint of political economy’ as Marx said about Proudhon’s Q’est-ce que la propriété. [lxiii]

The author opines that ‘probably’ in 1863 Marx abandoned the distinction between ‘capital in general’ and ‘many capitals’ in course of changing the (original) plan of his economic work (p. 315). Here we will not enter into the much debated question of Marx’s so called ‘change of plan’. The more pertinent question for us here is whether Marx had abandoned his important distinction between ‘capital in general’ and ‘many capitals’ after 1863 irrespective of the specific vocabulary used for these terms. That is, whether Marx had given up the crucial idea of capital’s totality versus individuality. Now, in his Grundrisse Marx considers ‘capital in general’ as equivalent to ‘capital as such’ and ‘capital of the whole society’ or the ‘total capital of a nation’. [lxiv] If we keep this equivalence relation in mind then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at the opposition totality-individuality of capital far from vanishing continues to appear in Marx’s post 1863 texts. As there exist a fair number of examples, a couple of them will suffice here. Thus in Capital I Marx speaks of ‘total capital of a society’, of ‘fragmentation of social total capital into many individual capitals’ and says that ‘individual capitals form the aliquot parts of total social capital.’ [lxv] In the same book Marx brings out the revolutionary significance of the distinction. Thus speaking of the wage labourer as the ‘accessory of capital’ and being ‘bound to his owner’ he adds — in the French version of the book — that ‘only the owner is not the individual capitalist but the capitalist class.’ [lxvi] Similarly in Capital II Marx speaks of the ‘sum of individual capitals’ as equal to ‘social capital’ or, equivalently, to the ‘total capital of the capitalist class.’ [lxvii] Likewise in Capital III Marx qualifies ‘each particular capital’ as ‘a piece of total capital’ and ‘each capitalist’ as a ‘share holder in the total concern.’ [lxviii] Examples could be multiplied.

Krätke underlines that in order to use Marx’s incomplete project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its ‘limits and shortcomings’ (p. 316), and he mentions quite a few of what he considers ‘unresolved problems’ in Marx’s work. The author should be credited for raising these issues. Given space constraint we deal with a couple of them. One of them concerns what Marx calls ‘socially necessary labour time’ as the determinant of value. Krätke rightly recalls the Marxian position that this labour time is ‘socially necessary’ only in the context of the prevailing conditions of production. Then he observes that the magnitude of value of the commodity produced could change over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abour going into the production of machinery — a part of constant capital — could lose its value. This is a process of depreciation (of value)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transfer of value analysed by Marx for the capitalist process of production’ (p. 317). Conceding that Marx was aware of the problem the author adds that Marx ‘never tried to resolve it systematically’ (p. 317). What exactly the term ‘systematically’ means here is not very clear. However, as a matter of fact Marx’s discussion of the problem of devaluation or depreciation — also called by him ‘destruction’ — of capital is much wider and deeper than what Krätke’s short sentence seems to indicate. This concerns capital in use and not in use, capital in a ‘normal’ economic situation and in a situation of crisis, capital with unchanging and with changing technology. The particular case mentioned by Krätke concerns devaluation of capital under changing technology leading to higher productivity of labour. Marx discusses this issue very clearly and stresses its importance for the turnover of capital. This devaluation Marx calls ‘moral depreciation’. Under technological change a part of the existing means of production — basically fixed capital — becomes unusable and is devalued, ‘destroyed’, before its normal circulation process is at an end or before its value reappears in the value of the commodity produced. ‘Machinery works wholly as means of labour, but posits its value to the product only in proportion in which the labour process devalues it.’ [lxix] Here the determination of value by socially necessary labour time takes on a new meaning. What determines the value of products is ‘not the labour time embodied in the products but the labour time currently (gegenwärtig) necessary.’ [lxx] In such a case of ‘devaluation of constant capital’ consequent upon new inventions the ‘labour time which it contains is no more socially necessary.’ [lxxi] ‘Its value is determined by the labour time necessary to reproduce either it or a better machine.’ [lxxii] Here is another clear statement:

We understand by the reproduction time of fixed capital the time necessary for its production, not the time which was necessary to produce it and which is contained in it, but which is or would be necessary to produce a new exemplar of the same kind. [lxxiii]

While justly faulting the current value-theoretical ideas of the Marxists where they scarcely take account of the ‘highly paradoxical’ Marxian category of ‘market value’ appearing in Marx’s analysis of competition of capitals, the author says that without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market value Marx’s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 value’ and ‘social value’ of a commodity ‘as it already appears in Capital I — highly problematic and highly misleading — would remain a word play’, adding of course that Marx had the ‘correct intuition’ — for the first time in his 1864-65 manuscripts — that the formation of market value is contradictory and far from simple showing in fact that the quantities of values modified in the market and under definite conditions could generate (what Marx calls) ‘false social values’ (Krätke, p. 318). If Krätke considers the absence of analysis of the formation of ‘market value’ in the context of the discussion of ‘individual value’ and ‘social value’ in Capital I is a shortcoming we beg to differ. We submit that the problem in question here touches an important issue of Marx’s method of presentation in Capital I. In this work Marx does not take up competition of capitals which includes the formation of ‘market value’ while still investigating capital as such. Already a decade earlier Marx had underlined the general method: ‘the relation of many capitals will be explained after considering what they have in common, to be capital.’ [lxxiv] The same idea is elaborated in Capital I.

The general and necessary tendencies of capital are to be distinguished from its forms of appearance. The way in which the immanent laws of capitalist production appear in the outward movement of individual capitals, are validated as competition of capitals, … are for now left out of consideration. Scientific analysis of competition is only possible after the inner nature of capital is grasped. The apparent movement of heavenly bodies is understandable to one who knows their real movement. [lxxv]

The absence of the analysis of competition of capitals and consequently of the formation of market value while still at the stage of investigating the ‘inner nature of capital’ only shows Marx’s scientific method in Capital I. Marx would not commit the methodological error which he had detected in Ricardo who right at the beginning of his great book supposes ‘all the possible categories as given which should first be explained in order to show their conformity with the law of value.’ [lxxvi] On the other hand, in his discussion of individual and social value in Capital I [lxxvii] there are sufficient hints about what one was to find in his much more explicit and enlarged elaboration on ‘competition of capitals’ and ‘market value’ in the third volume of the book. Incidentally, even before 1864-65 Marx discusses these issues at some length in his 1861-63 manuscripts without employing the specific term ‘false social value’. [lxxviii] The same method of abstraction leads Marx to assume in Capital I equality of value and price. Thus while calculating the rate of surplus value Marx speaks of his ‘assumption that the product price=its value’ and adds in a footnote, ‘one will see in volume III that this equality even in the case of average price does not hold in this simple manner.’ [lxxix]

On Haug’s splendid, impeccably argued essay we have very little to say. Nevertheless we may be allowed to put across a couple of points. Haug writes that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cannot be interpreted as a ‘system’ as in the old philosophy and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ocess of research with a process of learning’ (p. 296). Haug’s statement first of all reminds us that according to Engels Hegel was the last of the system builders, ‘Systematic philosophy after Hegel (was) impossible.’ [lxxx] Now, Marx’s ‘critique’ is undoubtedly a ‘process of research with a process of learning’. However, if we leave it at that there is a risk — as we mentioned earlier — that this will give the impression that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s still consigned to the academic world, it has still not transcended ‘political economy’. As a matter of fact Marx’s ‘critique’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overthrow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in opposition to ‘political economy’ (classical or otherwise) which considers it as natural or eternal. Korsch has remarked that in Marx’s ‘critique’ it is a question of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mutation of the subject of economic science towards a total revolution in the bourgeois mode of production.’ Then he cites Rosa Luxemburg ‘in Marx there is theinversion of political economy into its opposite, into the completion of the socialist analysis of capitalism.’ [lxxxi]

After mentioning an anecdote due to Althusser that on an invitation from Gorki to join a discussion on ‘empiriocriticism’, Lenin declined and simply laughed (away), Haug remarks that we could have ‘escaped Stalin’s ‘Diamat’ if Lenin, instead of laughing, had ‘pursued a philosophical road which would have prevented state ideology to derive its legitimacy from him’ (p. 300). The question is whether Lenin was capable of pursuing such a road. We here simply mention Pannekoek’s and Korsch’s sharp critique of Lenin’s materialism which they considered as ‘bourgeois materialism’ — the same as Plekhanov’s — in the line of French materialism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of Feuerbach. Commenting on what he calls Pannekoek’s ‘magisterial work’ (on Lenin’s philosophy) Korsch notes Lenin’s ignorance of modern physics and Lenin’s ‘unbelievable distortion of Mach and Avenarius’, his ‘incapacity to go beyond the limits of bourgeois materialism’ and adds

Lenin attacked empiriocriticism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ical materialism but from that of materialism of the earlier period, bourgeois materialism, of a period of inferior scientific development. [lxxxii]

Finally, Haug has convincingly debunked those ‘purists’ who think that Marx had diluted his dialectic and linguistic rigour in the course of popularising his work. One could ask those critics: for whom, after all, Marx was writing? As his letter to Lachâtre (11. 02. 1875) makes clear, his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as the ‘accessibility’ of his work to the working class.’ [lxxxiii] Again, in his letter to Cafiero (29. 07. 1879) Marx praised the latter for his (abridged) version of Capital I which was more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compared to two other versions — English and Serb — which he criticised for their ‘pedantic attachment to the scientific form of development.’ [lxxxiv]

Losurdo starts his paper by asserting the commonplace that contrary to what Marx had thought there has been no revolution in the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and that (by implication) it is in conditions of backward capitalism that revolution has taken place. We assume that by revolution here he means socialist revolution. He however specifies the initial act of this revolution — it is the ‘conquest of power by the communists’ (p. 347). We submit that though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onquests of power by the communists’ they have nothing to do with the proletarian conquest of power and that — it follows naturally — neither has there been any socialist revolution in the last century — at least not in Marx’s sense of workers’ self emancipation. We have to say that following the Leninist tradition — passed on to his disciples — Losurdo substitutes communist conquest of power for the ‘conquest of political power’ and thereby the ‘conquest of democracy’ ‘by the proletariat’, as theCommunist Manifesto underlines. [lxxxv] It is the political power of the working class, not a monopoly of power by the communists who are simply one of the working class parties, however advanced and forward looking the party might be compared to the other working class parties as the Manifesto underlines. As a matter of fact there has been no working class conquest of power in the twentieth century. Why should anyone assume that communist party’s power is working class power when this party is headed by a tiny group of non-proletarian radicalized intelligentsia totally detached from the site of capitalist exploitation, unchosen and unrevocable by the labouring people and accountable to no body outside the party that has on its own decided to seize power and acted on the decision — of course in the name of the working class — far and away from representing the ‘autonomous movement of the immense majority in the interest of the immense majority’, as the Manifesto stresses? The toilers had only one role to play both in the seizure of power and in its consolidation into party rule — to follow the party leaders and act on their commands. First calling itself proletarian dictatorship the regime ultimately claimed to be socialist — a ‘socialism’ which turned out to be a ‘planned’ commodity-and-wage labour society which, needless to say, was the exact opposite of a ‘union of free individuals’ as Marx had conceived socialism to be. The old state far from being destroyed was perfected into a state which in many respects turned out to be even more repressive than the old one — ‘uniting in the same hand economic exploitation and political oppression’ to use an apt phrase of the 1891 Erfurt Programme of the German Social Democratic Party (overseen by Engels). [lxxxvi]

Losurdo refers to three passages from Marx’s three works (p. 355). The first is from the German Ideology (hereafter Ideology) which he paraphrases into saying that communism is a society whence ‘every form of division of labour and even labour as such disappears.’ The second comes from the Communist Manifesto which says that once capitalism has been superseded ‘in place of the old society with its classes and class antagonisms appears an association in which the free development of each is the condition of the free development of all.’ The third is from the Critique of the Gotha Programme where one reads that after the overthrow of the bourgeois political power there follows a revolutionary transition period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before communist society begins). Let us examine Losurdo’s reading of these texts.

As regards the passage from Ideology Losurdo, after affirming its affinity with ‘utopian novels’, observes that while it could have some use in mobilising the masses it is a ‘hindrance’ (impaccio) rather than a help in constructing socialism (pp. 355-56). Now as regards the author’s particular reading of ‘labour’ here, we submit that it is incorrect in view of Marx’s own discussion on this point in the same book. It is not every form of labour and division of labour whose abolition Marx envisages in communism. It is forced labour and forced division of labour which have prevailed so far in ‘humanity’s pre-history’ (in Marx’s 1859 pregnant expression). While discussing communism the Ideology particularly focuses on labour under capitalism. Under this system for the majority of individuals labour has ‘lost all appearance of self-activity (Selbstbetätigung)’ and has become ‘negative form of self-activity.’ [lxxxvii] In all earlier revolutions the mode of activity always ‘remained intact’ and it was a question of a ‘different distribution of labour’ whereas the ‘communist revolution is directed against the earlier mode of activity, abolishes labour.’ [lxxxviii] As regards division of labour, so long as one’s activity ‘is not voluntarily (freiwillig) but naturally (naturwüchsig) divided’, the individual’s own activity becomes ‘a power alien and opposed to her which dominates her instead of being dominated by her.’ The moment labour begins to be divided ‘each one has an exclusive circle of activity which is forced on her and from which she cannot come out.’ This consolidation of ‘our own products into a material power over us escaping our control’ is one of the ‘high moment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till now.’ [lxxxix] And this is precisely what Marx says communism abolishes. In the same work Marx stresses that in order to reach their ‘self-activity’ individuals must appropriate the totality of productive forces and that this appropriation ‘can be accomplished only by an association and by a revolution.’ And

Only at this stage the self-activity coincides with the material life in conformity with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into total individuals. To this corresponds the transformation of labour into self activity. [xc]

We stress that this position about labour and division of labour is not unique to Ideology. First, this comes directly from his earlier great Parisian manuscripts (1844). [xci] Later in his 1861-63 manuscripts Marx speaks of the existence of division of labour beyond capital where conditions of labour belong to the ‘associated labourers who relate to them as their own products and the material elements of their own activity.’ [xcii] In his ‘Inaugural Address’ to the International (1864) Marx opposes ‘slave labour’ and ‘hired labour’ to ‘associated labour plying its toil with a willing hand, a ready mind and a joyous heart.’ In Capital Marx seems to have returned to the language of 1840s. Thus he opposes ‘fragmented individual’ of the bourgeois society to the ‘integral individual’ or ‘totally developed individual’ of the future society.’ [xciii] Finally we see in the Gothacritique the same ideas as in Ideology . At a higher phase of the communist society, says Marx, the ‘servile subordination of the individual under the division of labour will disappear’, labour would become ‘not only the means of life but also life’s first need.’ [xciv]

The two other texts of Marx cited by the author are, according to him, of ‘a historical-political kind but with a difference’ — the Manifesto dealing with the long duration of the development of humanity as a sequel to the revolution and the Gothacritique treating the concrete measures to be adopted by the proletariat on the morrow of the conquest of political power (p. 355). Turning to the Manifesto (Losurdo does not discuss the Gothacritique any further) Losurdo utters the warning that in the name of the Manifesto’s stress on the ‘fre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one must not condemn the ‘political power arising from the revolution’ facing the manœuvres of imperialism, ‘condemn the real movement in the name of one’s phantasies and deprive Marxism of every real emancipatory task.’ Specifically mentioning to-day’s China he insists that the fre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passes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e people’s power in the socialist countries’ (pp. 356, 357). Like the paper itself this reasoning is necessarily based on the author’s tall supposition (amounting to axiom requiring no demonstration) that the ‘political power’ in question is really ‘people’s power’ ruling the ‘socialist’ countries. We have no reason to accept this affirmation of the eminent philosopher. As regards the ‘Marxism’ professed by the rulers of these ‘socialist’ regimes ever since 1917 and accepted at face value by their apologists, it has nothing to do with Marx’s emancipatory perspective of socialism and it has only served these rulers as an ideological cover to legitimize their regimes in the name of Marx thereby infinitely degrading Marx. It is worth recalling that with all her sympathies for the new Bolshevik regime Rosa Luxemburg did not hesitate to take its leaders to task pretty severely on the score of (the absence of ) individual liberty [xcv]. Similar was the case with Victor Serge’s ‘internal critique’ of the new Bolshevik regime. [xcvi]

In Bidet’s otherwise highly thought provoking paper we read a couple of statements which are contestable. According to him, in spite of Marx’s scientific greatness in the elaboration of a new object, ‘political-economic’, his ‘weakness’ lies in the ‘unilateral or, rather, unipolar character’ of the construction. This relates to a ‘specific type of historicism’. In fact, continues Bidet, in spite of Marx’s declared ‘rejection of the historical-logical approach’, there emerges a ‘certain contamination between logical exposition and historical narration’ (p. 281, emphasis author’s). In Marx’s ‘social theory’, says Bidet, we are led ‘from the commodity form — the supposed general form of capital — to the organized form — supposed general form of socialism’ (p. 281, emphasis author’s). And he adds that ‘Marx could not recognize that market and organization constitute two structural poles of the modern form of society’ whereas the ‘exposition requires bipolarity from the beginning’ (p. 282, emphasis author’s). Let us discuss Bidet’s position. While holding correctly that Capital’s starting point is commodity production as the most general form of production under capitalism, Bidet contests what he considers as the ‘unipolarity’ of the point of departure inasmuch as both the ‘form organization’ and the ‘form market’ (should) constitute the starting point.’ It is strange’, Bidet adds, that ‘Marx only discovers’ the form organization in section IV (of Capital I) under the name ‘Co-operation’ (p. 285). Let us say a few words on Bidet’s critique. As regards Marx’s alleged non recognition of bipolarity under capital, we see the opposite in Marx’s texts. Thus

The division of labour in manufacture supposes unconditional authority of the capitalist over individuals who are simply members of an integral mechanism belonging to the capitalist;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puts independent producers opposed to one another who recognize no other authority but that of competition…Anarchy in the social division of labour and despotism in the division of labour in manufacture reciprocally condition each other. [xcvii]

Again, a variation on the same theme:

While on the basis of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the mass of immediate producers is confronted by the social character of their production in the form of strictest regulating authority and fully organized hierarchy and social mechanism of the labour process, there reigns among governors, the capitalists themselves, who confront one another only as possessors of commodities, the fullest anarchy. [xcviii]

As regards the ‘strangeness’ of Marx’s ‘discovery’ of ‘form organization’ only at a late stage in Capital I, we submit that Marx’s ‘discovery’ here is no more ‘strange’ than his ‘discovery’ of wage labour much later than commodity in Capital. Thus though he explicitly states right at the start of the book that commodity is the elementary form of capitalist wealth, just as explicitly does he emphasize that the ‘category of wage as yet does not exist at all at this stage of our presentation.’ [xcix] It is here a question of Marx’s method of presentation. As we mentioned earlier, Marx would not follow the wrong method of Ricardo who while supposing commodities — ‘and nothing else should be supposed when value as such is considered’ — also presented all the central categories of capital as simply given.[c] Hence Marx had first to develop all the mediations that the commodity has to go through before coming to the first form of capitalist organization in the chapter on ‘co-operation’ in Capital. As regards Marx’s so-called ‘historicism’, we do not want to venture into an extended exploration of this much debated subject. [ci] We simply underline here that it would seem strange to conceive of the ‘Materialist Conception of History’ — inexactly called ‘historical materialism’ –without history. [cii] This would run the risk of reducing materialism to an idealist play of mere ‘dialectic of the concepts’ without the real historical process being involved. Did not Marx say that the economic categories are ‘historical’ and not ‘eternal’ or ‘natural’ as they are with the economists. As Marx underlines, ‘economic categories carry their historical stamp.’ [ciii] We simply note that as regards ‘historicism’, far from being affected by ‘contamination’ — as if independently of Marx’s knowledge and will — between logical and historical, Marx, in a number of places, on the contrary, explicitly asserts the existence of both the processes. In the chapter on ‘co-operation’ in Capital I Marx writes that a multitude of workers working simultaneously within the same space or field of activity on the same kind of commodity under the command of the same capitalist ‘forms historically and conceptually the starting point of capitalist production.’ [civ] Here ‘conceptually’ of course means the same thing as ‘logically’. In an oft-quoted passage Marx writes: ‘It is altogether appropriate (sachgemäß) to consider the value of commodities not only theoretically but also historically as the prius to the prices of production’. [cv] Again, speaking of the circular movement of commodity both as the presupposition of the origin of capital and the latter’s product Marx observes: ‘This circular progression of our exposition corresponds as well to capital’s historical development.’ [cvi] Similarly in a letter to Engels (02. 04. 1858) Marx writes: ‘The passage from ground rent to capital is at the same time historical…In the same way the passage from ground rent to wage labour is not only dialectical but also historical.’ [cvii] And as a final example, ‘We started from circulation’, observes Marx, ‘to arrive at the capitalist production. This is also the historical passage (Gang).’ [cviii] One could also legitimately ask the question, what else is chapter 2 of Capital I if not a historical exposition of the passage from barter to money?

Conclusion

Let us conclude. The organizers of this valuable collection and particularly Marcello Musto, its editor, should be praised for bringing together and making available to the public (alas! not yet in English) [cix] the multidisciplinary contributions by some of the most distinguished Marx scholars of the day. Having said this, however, we have to register a couple of points in this connection. Engels observed in his well-known speech at Marx’s funeral that Marx was a ‘revolutionary before everything’ with a mission to ‘contribute to workers’ emancipation.’ In the present collection while a lot of emphasis is quite justifiably put on Marx as a great classic, hardly anybody — with almost the sole honourable exception of Musto — has touched on the uniqueness of Marx among the classics precisely on this point. Marx by no means was just another great classic. His theoretical work — apparently even as esoteric as Capital —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is revolutionary-emancipatory side. Indeed, Marx’s work is either revolutionary-emancipatory or it is nothing. Another regrettable absentee from this collection is any mention of the noble and heroic effort of Maximilien Rubel — a persona non grata with the state Marxists, East and West — to publish a de-ideologised integral edition of Marx and Engels with the incompleteness of Marx’s work as the point of departure — an effort undertaken long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new MEGA, starting with an article in France’s Revue Socialiste in 1952 with the title ‘The West owes to Marx and Engels a monumental edition of their works.’ Rubel’s second attempt was his project of publishing a Jubilee Edition (1883-1983) of Marx and Engels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ary of Marx’s death. In his proposal Rubel said very clearly, ‘Truly Marx deserves better than to be edited by the Marxists for the Marxists’, and spoke against the ‘ideological appropriation of Marx’s thought by the institutions under the tutelage of political parties.’

Categories
Journal Articles

『그룬트리세』의 비판적 해석

서론
1857년, 마르크스는 국제적 차원으로 전개된 금융위기가 유럽 전역에 새로운 혁명 시기를 위한 조건들을 창출했다고 확신했다. 마르크스는 1848년 대중 봉기 이후 줄곧 이 순간을 기다려왔고, 마침내 그때가 온 것으로 보였기 때문에 사건들을 준비 없이 맞이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마르크스는 경제학 연구를 재개하고 그 완성 형태를 만들기로 결심했다.

어디서 시작해야 하나? 저 야심차고 어려운, 이전에 여러 차례 시작했다가 중단했던 정치경제학 비판을 어떻게 착수할까? 이것이 마르크스가 다시 작업을 시작하면서 자문했던 첫 번째 물음이었다. 두 가지 상황이 답을 결정할 때 핵심 역할을 했다. 마르크스는 특정 이론들의 유효성에도 불구하고, 경제 과학은 여전히 현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설명하는 인식 과정이 부족하다는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작성 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논거들을 정하고 설명의 순서를 확립할 필요를 느꼈다. 이런 고려들이 마르크스가 방법 문제들에 더 깊이 파고들고 그의 연구를 위한 길잡이 원리들을 구성하도록 했다. 그 결과물이 마르크스의 전체 저작들(oeuvre) 중에서 가장 널리 논쟁 된 수고들 중 하나인 소위 1857년 ‘서설’이었다.

‘서설’에서 마르크스의 의도는 복잡한 방법론적 논문을 쓰는 것은 분명 아니었고, 독자들 이전에 자신을 위해 앞에 놓여 있는 길고 사건들이 많은 중요한 여정에서 그가 어떤 방향으로 나갈지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는 또한 1840년대 중반 이후 그가 축적해온 거대한 양의 경제학 연구들을 재검토하는 과제에도 필요했다. 그래서 이 논문에는 이론적 범주들의 전개와 표현에 대한 검토와 함께, 특히 새롭게 역사를 요약하는 데 꼭 필요한 역사개념과 연관된 마르크스 사상의 핵심에 대한 몇몇 정식화들, 그리고 여전히 그 해답이 불완전한 비체계적 질문목록이 담겨 있다.

필요들과 의도들이 혼재돼 있고, 거의 일주일도 안 되는 짧은 시기에 작성한데다 무엇보다도 글의 잠정적 성격 때문에 ‘서설’은 극히 복잡하고 커다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그렇지만, ‘서설’은 마르크스가 인식론적 문제들을 거론한 것 중에 가장 광범위하고 세밀한 의견을 담고 있어서, 그의 사상 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참고 문헌이자 『그룬트리세 』전체를 해석하는 열쇠다.

역사와 사회적 개인
그의 스타일대로, 마르크스는 ‘서설’에서 그 자신의 사상에 대한 설명과 이론적 반대자들에 대한 비판을 번갈아가며 진행했다. 텍스트는 네 절로 나뉜다.
(1) 생산 일반
(2) 생산, 분배, 교환, 소비 사이의 일반적 관계
(3) 정치경제학의 방법
(4) 생산수단(력)과 생산관계, 생산관계와 유통관계 등(Marx, 1973: 69).

첫째 절은 의도 진술, 곧이어 연구 분야 구체화, 역사적 기준에 대한 지적으로 시작한다. 그 역사적 기준이란 ‘우리가 다룰 대상은 우선 물질적 생산이다. 개인들은 사회속에서 생산한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결정된 개인생산이 당연한 출발점이다’. 마르크스의 논쟁 대상은 ‘18세기 로빈슨주의자들’(Marx, 1973: 83), 경제적 인간(homo oeconomicus)이라는 패러다임으로 로빈슨 크루소에 대한 신화(Watt, 1951: 112), 또는 부르주아 시대에 전형적인 현상을 태초부터 존재해 온 모든 다른 사회들에게 투사하는 것이었다. 이런 개념들은 생산의 사회적 성격을 어떤 노동과정에서도 고정불변인 것으로, 자본주의 관계만의 특성이 아닌 것으로 표현했다. 마찬가지로, 18세기에 출현하여 ‘이전 역사적 시기들에서는 개인을 고정되고 제한된 인간 집합체의 부속물로 만들었던 자연적 속박으로부터 개인들이 벗어나 보이는’ 조건들을 창출한 시민사회(bürgerliche Gesellschaft)가 항상 존재했던 것으로 그려졌다(Marx, 1973: 83).

실제로는, 고립된 개인은 자본주의 시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마르크스가 『 그룬트리세』의 다른 문장에서 적었던 대로, ‘인간은 원래 유적 존재, 씨족적인 존재, 군집 동물로 나타난다’(Marx, 1973: 496). 이 집단성이 ‘거대한 작업장, 노동수단과 노동대상 모두를 공급하는 창고, 보금자리, 공동체의 토대(Basis des Gemeinwesens)'(Marx, 1973: 472)가 되는 지구로부터의 전유를 위한 조건이다. 이런 원시적 관계가 존재할 때, 인간의 활동은 직접적으로 지구와 연관된다. ‘노동이 그 물질적 전제조건들과 자연적 통일’을 이루고, 개인은 타인들과 공생한다(Marx, 1973: 471). 유사하게, 경제의 목적이 아직 교환가치가 아닌 사용가치를 창조하는 것이었던 농업을 바탕으로 한 이후의 모든 경제 형태들에서 도 개인들이 ‘그들 노동의 객관적 조건들’과 맺는 관계는 ‘코뮨의 구성원이라는 존재를 통해 매개된다’. 그는 항상 사슬의 한 고리일 뿐이다(Marx, 1973: 486). 이런 연관에 대해, 마르크스는 ‘서설’에서 이렇게 쓴다.

더 깊이 역사를 거슬러 가면 갈수록 개인 즉 생산하는 개인은 더 큰 전체에 속하며 매우 당연하게도 가족에, 그리고 가족이 확대된 씨족(Stamm)에, 나중에는 씨족들의 대립과 융합으로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사회에 의존적인(unselbstständig) 것으로 나타난다(Marx, 1973: 84).

비슷한 의견들이 『 자본론』1권에 나타난다. ‘암흑에 쌓인 유럽의 중세시대’에 대해 말하며, 마르크스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독립적 인간 대신, 우리는 농노와 영주, 가신과 주군, 평신도와 성직자들, 모두가 의존적
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여기서 개인적 의존은 생산의 사회적 관계뿐 아니라 이 생산의
토대에서 조직된 생활의 다른 영역들도 특징짓는다(Marx, 1996: 88).

그리고 마르크스가 생산물 교환의 발생을 검토했을 때, 그는 교환이 다른 가족들, 씨족이나 공동체들 사이의 접촉에서 시작했다는 것을 상기시켰다. ‘왜냐하면, 문명의 맨 처음에, 독립적 입장으로 만나는 것은 개인이 아니라 가족, 씨족 등이다’(Marx, 1996: 357). 그래서 기준이 혈족의 원시적 유대든 중세의 주군과 가신의 결합이든, 개인들은 상호 유대에 의해 결합된 ‘제한된 생산관계(bornirterProductionsverhältnisse)’속에 살았다(Marx, 1973: 162).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마르크스가 자연법칙으로부터 도출된 환상이라고 간주한 것에 바탕을 두고 이런 현실을 전도시켰다. 특히 애덤 스미스는 개인들이 사회 밖에서 존재할 뿐 아니라 사회 바깥에서 생산도 할 수 있는 어떤 원시적 조건을 묘사했다. 수렵씨족과 목축씨족들 간의 노동분업이 직업의 전문화를 성취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활과 화살을 만드는데 더 능숙하면 일종의 전사가 되고 나무집을 짓는데 더 능숙하면 일종의 목수가 됐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 사람의 노동 생산물 중 소비하지 않은 부분을 다른 사람의 잉여와 교환할 수 있게 보장되면서 ‘모든 사람들이 특정 직업을 가지도록 고무했다’(Smith, 1961: 19). 데이비드 리카도는 사회의 원시 단계에서 사냥꾼들과 어부들의 관계를 노동시간으로 대상화된 상품 소유자들 사이의 교환관계로 보는 비슷한 시대착오적 과오를 범했다(Ricardo, 1973: 15; Marx, 1987a: 300).

이런 식으로, 스미스와 리카도는 그들이 살았던 고도로 발전된 사회의 고립된 부르주아 개인의 생산물을 마치 자연의 자생적 표현인 것처럼 묘사했다. 그들의 저작들에서 나타나는 것은 ‘자연적이라고 규정된’ 신화적이고 영원한 개인으로 그의 사회적 관계는 항상 동일하고, 그의 경제적 행위는 몰역사적 인류학적 성격을 가졌다(Marx, 1973: 83). 마르크스에 따르면, 각각의 새로운 역사적 시대에 대한 해석자들은 항상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들이 태고적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착각했다.

마르크스는 ‘사회 바깥의 고립된 한 개인에 의한 생산은 마치 함께 살고 서로 대화하는 개인들 없이도 언어가 발전했다는 주장만큼 어리석은 것이다’라고 주장했다(Marx, 1973: 84). 그리고, 18세기의 고립된 개인을 인간성의 원형으로 ‘역사의 결과가 아니라 역사의 출발점으로’ 묘사했던 사람들에 반대해 마르크스는 그런 개인은 오직 매우 발달한 사회관계와 함께 출현했다고 주장했다(Marx, 1973: 83). 마르크스는 인간이 a ζω´ον πολιτικο´ν (zoon politikon), 즉 사회적 동물인 것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으나, 인간이 ‘오직 사회 내에서만 자신을 개인화할 수 있는 동물’이라고 강조했다(Marx, 1973: 84). 그래서 시민사회는 오직 근대 세계와 함께 출현했고 자본주의 시대의 자유 임금노동자는 오랜 역사적 과정을 거친 후에야 나타났다. 사실, 자유 임금노동자는 한편으로는 사회의 봉건적 형태들의 해체, 다른 한편으로 16세기 이후 발전한 새로운 생산력들이 만들어 낸 산물이다(Marx, 1973: 83). 마르크스가 너무도 명백하다고 생각한 문제에 대해 반복할 필요를 느꼈던 것은 이전 20년 동안 캐리(Henry Charles Carey), 바스티아(Frédéric Bastiat), 프루동(Pierre-Joseph Proudhon)의 저작들이 이와 관련된 토론을 불러왔기 때문이었다. 자본주의적 개인의 발생을 묘사하고 근대 생산은 오직 ‘사회적 발전의 일정한 단계, 즉 사회적 개인들에 의한 생산’에 합치한다는 것을 증명한 후에 마르크스는 두 번째 이론적 요건을 지적한다. 그것은 ‘생산 일반’(Production im Allgemeinem)의 개념에 관하여 고전파경제학자들에 의해 실행된 신비화를 폭로하는 것이다. 생산 일반의 개념은 하나의 추상이며 현실의 어떠한 구체적 단계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범주다. 그렇지만, ‘모든 생산 시대들은 모종의 공통 특질들과, 공통 특성들(gemeinsame Bestimmungen)을 가지므로’, 마르크스는 ‘생산 일반은 그것이 실제로 공통요소를 낳고 고정시키는 한, 하나의 합리적 추상이며’ 그래서 진정으로 그 공통요소들을 불러내고 확정시켜 사고를 통해 현실을 재생산하여 학자에게 쓸데없는 반복을 절약해준다는 것을 인식한다(Marx, 1973: 85).

그래서 추상은 마르크스에게 긍정적 기능을 얻었다. 추상은 더 이상, 그의 초기 헤겔 비판에서처럼 관념주의 철학과 동의어가 아니었고, 그 자체로 현실의 대체물도 아니었으며(Marx, 1975a: 180ff.), 1847년 』철학의 빈곤『에서 언급한 것처럼 모든 것을 논리적 범주들로 변형시키는 형이상학도 아니었다(Marx, 1976: 163). 이제 그의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개념(나중에 명명되는 것처럼)은 확실히 정교해 졌고, 그의 비판적 사고들은 1840년대 초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맥락에서 작동하였기 때문에 마르크스는 추상에 대해 젊은 시절의 편견을 버리고 다시 사고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동시대에 보편적 가치를 지닌 추상적 법칙들의 불가능성을 이론화했던 ‘역사학파’의 대변자들과 달리 마르크스는 『그룬트리세』에서 추상이 인식과정에서 유익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렇지만, 이것은 오직 이론적 분석이 모든 역사적 단계들에 유효한 정의들과 특정 시대들에만 유효한 정의들을 구분할 수 있고, 현실을 이해하는데 후자에게 마땅한 중요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때만 가능했다. 비록 추상이 생산의 가장 광범위한 현상들을 표현하는데 유용하였지만, 그 자체로 진정 역사적인 것인 특수한 양상들을 정확하게 표현하지는 않았다. 만약 추상이 어떤 역사적 실재의 결정적 성격과 결합되지 않는다면 생산은 특정하고 차별화된 현상이었던 것에서 자기를 표현하는 다양한 형태들의 ‘본질적 다양성’(wesentliche Verschiedenheit)을 숨기는 완전히 자기 동일적인 과정으로 변화된다. 이것이 ‘현존 사회관계의 영원성과 조화’를 주장했던 고전파 경제학자들이 저지른 잘못이었다(Marx, 1973: 85). 그들의 과정과 반대로, 마르크스는 각 사회경제적 구성을 다른 것들과 구별할 수 있게 하고, 그 구성의 발전에 추동력을 제공하고, 학자들에게 실제 역사적 변화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각 사회경제적 구성의 특수한 특징들이라고 주장했다(Korsch, 1938: 78f.).

비록 생산의 일반적 요소들에 대한 정의가 ‘여러 차례 분할되었고 다른 결정요소들로 나뉘며’ ‘일부는 모든 시대에 속하고 다른 것들은 오직 몇몇 시대에만 해당되지만’ 그 보편적 구성요소들 중에 인간노동과 자연에 의해 제공되는 물질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Marx, 1973: 85). 왜냐하면, 생산하는 주체와 노동 대상이 되는 객체 없이 생산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세 번째 생산의 일반적 전제조건을 도입했다. ‘이전에 축적된, 과거 노동의 생산물, 다시 말하면, 자본이다(Mill, 1965: 55). 이 마지막 요소에 대한 비판은 마르크스가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근본적 한계라고 생각하는 것을 드러낼 때 핵심적이었다. 만약 인간이 손만 있고 노동 도구가 없다면 또는 원시적 인간의 반복적 활동만 있고 축적된 과거 노동이 없다면, 노동 도구가 없는 생산이란 불가능하다는 것은 마르크스에게 명백해 보였다. 자본은 과거 노동이고 생산의 도구라는 것을 동의했지만, 마르크스는 스미스, 리카도, 존 스튜어트 밀과 같이 그것이 항상 존재했었다고 결론 내리지는 않았다.

이 점은 『그룬트리세』의 또 다른 절에서 매우 자세히 제시된다. 여기서 마르크스는 ‘영원한’ 것으로서의 자본 개념은 자본의 본질적인 ‘형식적 규정’(Formbestim-mung)을 고려하지 않고 자본을 오직 물질로 취급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르면,

자본은 모든 형태의 사회에 존재했어야 했고, 전적으로 초역사적인 어떤 것이다. … 그러면 팔, 특히 손이 자본이다. 자본은 인류만큼 오래된 어떤 것에 대한 새로운 이름일 뿐이다. 왜냐하면 가장 미발전된 수렵, 어로 등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노동이 이전 노동의 생산물이 직접적 살아있는 노동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 만약 그렇게 자본의 특정 형태는 추상되어 버리고 오직 내용만 강조된다면 … 당연히 자본이 인간의 모든 생산에 필요한 조건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보다 쉬운 것은 없다. 그 입증은 바로 인간 생산의 특수하게 발전된 역사적 단계의 특정 계기(Moment einer besondersentwickelten historischen Stufe der menschlichen Production)를 만드는 구체적인 측면들로부터의 추상(Abstraktion)에 의해 진행된다(Marx, 1973: 257–258).

이 문장에서 마르크스는 추상을 부정적 의미에서 언급한다. 추상하는 것은 실제 사회적 조건들을 제거하는 것이고 자본을 관계라기보다 사물로 생각하는 것이며 그래서 잘못된 해석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서설’에서 마르크스는 추상적 범주들의 사용을 수용하는데 그러나 오직 일반적 측면의 분석이 특수한 측면을 제거하지 않거나 전자와 후자의 구별을 흐리게 하지 않는 한에서 사용한다. 만약 ‘자본을 단지 생산 도구로서 물리적 속성으로만 여기고’ 반면에 생산 도구를 자본으로 만드는 경제적 형태(ökonomischen Form)를 완전히 무시'(Marx, 1973: 591)하는 잘못을 범한다면, ‘진정한 차이를 파악하는데 완전히 무능’하게 될 것이고 ‘단지 다른 이름들을 갖는 하나의 단일한 경제적 관계만 존재한다’는 믿음에 빠지게 된다(Marx, 1973: 249). 사회적 관계에서 표현된 차이들을 무시하는 것은 모든 것의 결절점인 특수한 차이성differentia specifica를 추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서설’에서 마르크스는 ‘다시 말해, 만약 내가 그 자체로 “생산 도구”와 “저장된 노동”을 자본으로 만드는 바로 특수한 질을 버린다면’, ‘자본은 자연의 일반적(allgemeines)이고 영원한 관계다’라고 썼다(Marx, 1973: 86).
사실, 마르크스는 이미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역사적 감각의 결여를 『철학의 빈곤』에서 비판했다.

경제학자들은 어떤 단일한 진행 방법을 갖고 있다. 그들에게는 두 가지 종류의 제도,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만 있다. 봉건제도들은 인공적인 제도이고 부르주아지 제도들은 자연적 제도다. 이런 점은 똑같이 두 가지 종류의 종교를 확립하는 신학자들과 닮았다. 자기들의 것이 아닌 모든 종교는 인간의 발명품이고 반면 자기들의 것은 신이 준 것이다. 고전파 경제학자들이 현재의 관계들 – 부르주아 생산관계들 – 을 자연적이라고 할 때 그들은 그 속에서 부가 창조되고 생산력이 발전하는 부르주아 생산관계가 자연법칙과 일치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그래서 이 관계들은 그 자체로 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연법칙이다. 그것들은 사회를 지배해야 할 영원한 법칙이다. 그래서 역사는 있었지만, 더 이상의 역사는 없다(Marx, 1976: 174).

이런 주장을 그럴듯하게 하기 위해 경제학자들은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탄생에 앞섰던 역사적 환경들을 자본주의적 특징들을 가진 ‘존재 자체의 결과’로 묘사했다(Marx, 1973: 460). 마르크스가 『그룬트리세』에 적었던 대로,

자본을 영원하고 자연적인(역사적이 아닌) 생산의 형태로 간주한 부르주아 경제학자들 은 이제 자본을 정당화하기 위해 자본이 되기 위한 조건을 자본이 현재 실현되는 조건으로 정식화함으로써 즉, 자본가들이 아직 자본가가 되는 중이기 때문에 비자본가를 전유하는 순간을 자본가가 자본가로서 전유하는 바로 그 조건이라고 제시하려고 시도한다. (Marx, 1973: 460).

역사적 관점에서 본 마르크스와 고전 경제학자들 사이의 근본적 차이에 대한 마르크스 입장은 ‘자본이 세계를 태초부터 움직인 것이 아니라 자본이 생산과 생산물들을 그 자신의 과정 아래 종속시키기 이전부터 자본이 이미 존재하는 생산과 생산물들을 대면했다는 것이다'(Marx, 1973: 675). 왜냐하면,

새로운 생산력과 생산관계는 무에서 발전하지 않고, 하늘에서 떨어지지도 않고, 자기 정립적인 관념의 자궁에서부터가 아니라 현존하는 생산의 발전과 그리고 전해져 내려온 전통적인 소유관계 내부로부터 그리고 그 대립물에서 발전해 나온다(Marx, 1973: 278).

유사하게, 생산하는 주체가 생산수단으로부터 분리되는 환경은 추상노동(자본과 살아 있는 노동 사이의 교환을 위한 필수 요건)을 수행할 수 있는 무산 노동자를 자본가들이 발견할 수 있게 허용하는데, 이것은 ‘자본과 임금 노동의 원천이 되는 역사를 형성’(Marx, 1973: 489)하는 과정의 결과로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이에 대해 침묵한다.

『그룬트리세』의 여러 문장들은 경제학자들이 역사적 현실을 자연적 실재로 묘사하는 방법을 비판한다. 예를 들면, 마르크스에게 화폐가 역사의 생산물이라는 것은 자명하다: ‘금이나 은의 자연적 속성 그 자체가 화폐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사회적 발전의 정확한 계기에 처음으로 획득한 단지 하나의 결정인 것이다(Marx, 1973: 239). 신용도 마찬가지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대부와 차입은, 고리대금처럼, 여러 문명들에 공통적인 현상이었지만 일이 산업 노동, 자유 임금노동이 아니듯이, 이러한 대부와 차입 그 자체가 신용은 아니다. 발전된 생산관계에서 핵심적인 신용은 역사적으로 오직 자본에 근거한 유통에서만 나타난다’(Marx, 1973: 535). 가격과 교환 또한 고대사회에 존재했지만, ‘모든 생산관계에 대한 교환의 점증하는 지배와 생산비용이 점점 더 가격을 결정하게 되는 것은 오직 부르주아 사회, 자유경쟁 사회에서만. … 완전히 발전한다’. ‘아담 스미스가, 진정한 18세기 방식으로 말했던, 전(前)사의 시기, 역사 이전 시기는 오히려 역사의 산물이다’(Marx, 1973: 156). 게다가 그가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역사 감각 결여를 비판했던 것과 꼭 같이 마르크스는 프루동과 (교환가치를 생산하는 노동이 임금 노동으로 발전하지 않고도 존재할 수 있고, 교환가치가 자본으로 변화되지 않고도 존재할 수 있으며, 자본가 없는 자본이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모든 사회주의자들을 조롱했다(Marx, 1973: 248). ‘서설’ 첫 부분에서 마르크스의 주요한 목적은 따라서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역사적 특수성을 주장하는 것이고, 그가 『자본론』3권에서 다시 주장했던 자본주의 생산양식은 ‘절대적 생산양식이 아니라, 단지 역사적, 일시적’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Marx, 1998: 240).

이 관점은, 노동과정과 그것의 다양한 특성들을 포함한 많은 질문들을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함의한다. 『그룬트리세』에서 마르크스는 이렇게 썼다. 부르주아 경제학자들은 사회발전의 특수한 역사적 단계에 속하는 사상에 사로잡혀서 그들에게는 사회적 노동력 객체화의 필연성이 그 노동력 소외의 필연성과 분리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Marx, 1973: 832).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이 특수한 형태들이 마치 그 자체로 불변하는 생산과정인 것처럼 제시되는 것을 반복해서 문제 삼았다. 임금노동을 생산의 특수한 역사적 형태의 명확한 관계로가 아니라 인간 경제적 존재의 보편적 실재로 묘사하는 것은 착취와 소외가 항상 존재했었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자본주의 생산의 특수성을 회피하는 것은 인식론적, 정치적 영향들 모두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그것은 생산의 구체적 역사적 수준들을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현재의 조건들을 변하지 않고 변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자본주의 생산을 생산 일반으로 그리고 부르주아 사회 관계들을 자연적인 인간관계들로 표현했다. 따라서 마르크스의 부르주아 경제학자들의 이런 이론들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 가치를 지녔다. 현실을 이해하는 데서 역사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뿐 아니라 다른 한편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불변성이라는 도그마를 논박한다는 분명한 정치적 목적을 가졌다. 자본주의 질서의 역사성을 증명하는 것은 또한 그것의 일시적 성격과 제거 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서설’의 첫 번째 부분에 담겨 있는 사상들의 메아리는 『자본론』3권의 마지막 페이지들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여기서 마르크스는 ‘사회적 생산과정을 단순 노동과정과 동일시하는 것’은 ‘혼동’이라고 썼다(Marx, 1998: 870). 왜냐하면,

노동과정이 오로지 인간과 자연 사이의 과정일 때는, 그것의 단순한 요소들은 발전의 모든 사회적 형태들에 공통적인 것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 과정 각각의 특수한 역사적 형태는 자신의 물질적 기반과 사회적 형태들을 더욱 발전시킨다. 특정 성숙 단계에 도달했을 때마다 이 특수한 역사적 형태는 버려지고 더 고도의 형태를 향해 나아간다(Marx, 1998: 870).

자본주의는 인간 역사의 유일한 단계도 아니고, 마지막 단계도 아니다. 마르크스는 그것이 ‘공동의 생산’(gemeinschaftliche Production)에 근거한 사회 조직으로 계승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 안에서는 노동 생산물은 ‘처음부터 직접적으로 일반적’이다(Marx, 1973: 172).

총체성으로서 생산
‘서설’의 이어지는 페이지들에서 마르크스는 생산에 대한 더 깊은 사고를 전개하며 다음과 같은 정의로 시작한다. ‘모든 생산은 한 개인으로서는 어떤 특수한 사회 형태(bestimmten Gesellschaftsform) 내에서의 그리고 그 사회 형태를 통한 자연의 전유(Aneignung)다’(Marx, 1973: 87). ‘생산 일반’은 없다. 왜냐하면 생산은 농업, 목축업, 제조업 그리고 다른 분야들로 나뉘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생산을 ‘단지 특수한 생산’으로 고려할 수도 없었다. 오히려 생산은 ‘생산 부문들의 보다 크고 넓은 총체성 속에서 활동하는 하나의 사회적 본체(Gesellschaftskörper), 사회적 주체(gesellschaftliches Subject)’였다(Marx, 1973: 86).

여기서 다시 마르크스는 경제이론의 주요 권위자들과의 비판적 만남을 통해 그의 주장들을 발전시켰다. 마르크스와 동시대의 경제학자들은 그들의 저작들에서 생산의 일반적 조건들과 다양한 사회들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킨 환경들에 대해 언급하며 서문을 시작하는 것이 관례였다. 하지만 마르크스에게 이런 예비 작업들은 ‘따분한 동어반복’일 뿐이었다(Marx, 1973: 86). 존 스튜어트 밀의 경우 ‘생산은 역사와 독립된 영원한 자연법칙에 둘러싸인 것으로’ 그리고 부르주아 관계들을 ‘그 위에 추상에서 사회가 건설되는 불가침의 자연법칙’으로 표현했다(Marx, 1973: 87). 밀에 따르면, ‘부의 생산 법칙들과 조건들은 물리학적 진리의 성격을 띠는 것이다. … 부의 분배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오로지 인간 제도의 문제다’(Mill, 1965: 199). 마르크스는 이것을 ‘생산과 분배 그리고 그들 사이 진정한 관계에 대한 저열한 분리’라고 보았는데(Marx, 1973: 87), 왜냐하면,『그룬트리세』의 다른 부분에서 적었던 것처럼, ‘부를 생산하는 “법칙과 조건들”과 “부를 분배”하는 법칙들은 형태만 다른 똑같은 법칙이고 둘 모두 똑같은 역사적 과정을 밟으며 변하며 그 자체들로 단지 역사적 과정의 계기들일 뿐이다’(Marx, 1973: 832). 이 점들을 지적한 후, ‘서설’의 둘째 절은 생산과 분배, 교환, 소비의 일반적 관계를 검토하는 데로 나아간다. 정치경제학의 이런 분할은 제임스 밀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그는 이 네 가지 범주들을 1821년의 그의 책,『정치경제학 요강』의 네 개 장의 제목으로 사용했다. 그전에는 장 바티스트 세이가 1803년에 자신의 책『정치경제학 개론』을 부의 생산, 분배, 소비에 관한 세 권으로 나눈 바 있다.

마르크스는 네 항목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헤겔의 보편-특수-개별의 도식에 일치시켜 논리적 방식으로 재구성했는데 ‘생산, 분배, 교환, 소비가 규칙적 삼단논법(syllogism)을 형성한다. 생산은 보편이고, 분배와 교환은 특수이며, 소비는 개별로서 그 안에서 전체가 결합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생산은 인간 활동의 출발점이고 분배와 교환은 이중의 매개점인데 전자는 사회에 의해 작동되는 매개 후자는 개인에 의해 작동되는 매개가 되며 소비는 종착점이 된다. 그렇지만 이는 단지 ‘피상적 일관성’이었으므로 마르크스는 네 영역들이 각각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 지 보다 깊게 분석하고자 했다(Marx, 1973: 89).

그의 첫 번째 탐구 대상은 생산과 소비 사이의 관계였는데 마르크스는 이를 즉각적 동일성의 하나로 설명했다. ‘생산은 소비’이고 ‘소비는 생산이다’. 규정은 부정(determinatio est negatio)이라는 스피노자의 원리의 도움으로 마르크스는 생산적 행동이 원료뿐 아니라 개인의 능력을 소모하는 한 생산은 또한 소비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Spinoza, 1955: 370). 실제로 경제학자들은 이미 이런 측면을 ‘생산적 소비’라는 용어로 강조했고 이를 ‘소비적 생산’과 구별했다. 후자는 오직 생산물이 분배되고 재생산의 영역에 재투입되면서 ‘진정한 소비’를 이루면서 발생했다. 생산적 소비에서는 ‘생산자가 자신을 객체화하고’, 반면 소비적 생산에서는 ‘그가 창조한 물건이 자신을 인간화 한다’(Marx, 1973: 90–91). 생산과 소비의 동일성의 또 다른 특성은 그들 사이에서 발전된 상호간 ‘매개적 운동’에서 인식될 수 있다. 소비는 생산물에게 그 ‘최종 완성’을 주고, 생산 성향을 자극함으로써 ‘새로운 생산에 대한 필요’를 창출한다(Marx, 1973: 91). 같은 방법으로 생산은 소비를 위한 대상뿐 아니라, ‘물질에 대한 어떤 욕구’를 제공한다. 자연적 직접성의 단계를 넘어서면 욕구는 대상 자체에 의해서 발생 된다. ‘생산은 주체를 위한 대상뿐 아니라 그 대상을 위한 주체’ 즉, 소비자를 ‘창조한다’(Marx, 1973: 92). 그래서,

(1) 소비를 위한 물질을 창조함으로써, (2) 소비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3) 원래는 대상이었던 생산물을 소비자가 필요의 형태로 느끼게 하는 생산물로 창조함으로써 생산은 소비를 생산한다. 따라서 생산은 소비의 대상, 소비의 방법, 소비의 동기를 만들어 낸다(Marx, 1973: 92).

요약하면 생산과 소비 사이에 매개 되지 않은 동일성 과정이 존재한다. 생산과 소비는 또한 교대로 서로를 매개하고 서로가 실현됨에 따라 서로를 창출한다. 그럼에도, 마르크스는 예를 들어 세이와 프루동처럼 두 가지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최종 분석에서 ‘긴급으로서, 필요로서 소비는 그 자체로 생산적 활동의 고유한 계기이기 때문이다’.그다음 마르크스는 생산과 분배의 관계에 대한 분석으로 전환한다. 마르크스는 분배는 생산과 소비의 고리이고, ‘사회적 법칙에 따라’ 생산물들의 얼마나 많은 몫이 생산자들에게 돌아가는지를 규정한다고 썼다(Marx, 1973: 94). 고전파 경제학자들은 분배를 생산으로부터 자율적인 영역으로 제시하기 때문에 그들의 논문들에서 경제적 범주들은 항상 두 가지 방식으로 제기된다. 생산에서는 토지, 노동, 자본이 분배의 대리인들로 나타나고, 반면 분배에서는 지대, 임금, 이윤의 형태로, 소득의 원천들로 나타난다. 마르크스는 이런 분리에 대해 환상이고 잘못이라고 평가하며 반대한다. 왜냐하면 분배의 형태는 다를 수도 있는 ‘임의적 배열이 아니라 그것은 생산 형태 그 자체에 의해 정해진 것이다’(Marx, 1973: 594). ‘서설’에서 그는 이렇게 그의 생각을 표현한다.

임금 노동의 형태로 생산에 참가하는 개인은 생산의 결과, 생산물들의 몫을 임금의 형 태로 받는다. 분배 구조는 완전히 생산 구조에 의해 규정된다. 오직 생산의 결과들만 분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산의 대상 측면뿐 아니라 생산에 대한 특정한 형태의 참여가 분배의 특정 형태 즉 분배의 참가 양상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그 형태 측면에서도 분배는 생산의 산물이다. 생산에서 토지를, 분배에서 지대를 상정하는 것 등은 전적으로 환상이다(Marx, 1973: 95).

분배를 생산에서 자율적인 것으로 보는 사람들은 분배를 단지 생산물들의 분배로 생각했다. 현실에서는 분배는 생산에 선행하는 두 가지 중요한 현상들을 포함했다. 생산 도구들의 분배와 다양한 종류의 생산들에 사회 구성원들을 분배하는 것 즉 마르크스가 ‘특수한 생산관계 아래 개인들의 종속’이라고 정의한 것(Marx, 1973: 96)이다. 이 두 가지 현상들은 어떤 역사적 사례들에서는 예를 들면 정복한 인민들이 정복당한 인민들을 노예 노동에 종속시킬 때나 혹은 소유 토지의 재분할이 생산의 새로운 형태를 발생시킬 때(Marx, 1973: 96)는 ‘분배가 생산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분배에 의해 생산이 구조화되고 규정된다’(Marx, 1973: 96)는 것을 의미했다. 두 가지는 밀접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왜냐하면 마르크스가『그룬트리세󰡕의 다른 곳에서 지적했듯이 ‘이 분배양식들은 생산관계 자체이지만 그러나 분배의 외양을 띤 것(sub specie distributionis)이다’(Marx, 1973: 832). 그래서 ‘서설’의 문구에 따르자면 ‘생산을 검토하면서 한편 생산 내부의 내재적인 분배를 고려하지 않는 것은 명백히 공허한 추상이다’.

마르크스가 생산과 분배의 연결을 이해한 것은 마르크스가 왜 존 스튜어트 밀이 이 둘을 엄격히 분리시킨 것을 혐오했는지 뿐 아니라 ‘근대 생산의 특수한 사회적 구조를 파악할’ 필요를 제기했던 리카도에 대한 그의 인정도 해명해준다(Marx, 1973: 96). 이 영국 경제학자는 실제 ‘분배를 규제하는 법칙을 결정하는 것이 정치경제학의 근본적 문제’라고 주장했고(Ricardo, 1973: 3), 그래서 그는 분배를 주요 연구 대상들 중 하나로 정했다. 왜냐하면 ‘리카도는 분배 형태들을 어떤 주어진 사회의 생산 행위자들이 처하는 가장 분명한 표현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Marx, 1973: 96). 마르크스에게도 역시 분배는 총 생산물의 몫이 사회 구성원들에게 분배되는 행위로만 제한되지 않는 것이었다. 분배는 전체 생산 순환에서 하나의 결정적 요소였다. 하지만 이런 확신이 생산이 전체 생산과정 내에서 항상 가장 중요하다는 그의 테제를 뒤집지는 않았다.

분배와 생산 사이의 관계 문제에서 결정적인 것은 명백히 생산 자체 내에 속한다. … 생산은 실제 생산의 계기들을 형성하는 결정요인들과 전제조건들을 가진다. 처음에는 이것들은 자생적이고 자연적으로 나타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생산과정 자체에 의해 결정요인들과 전제조건들은 자연적인 결정요인에서 역사적인 결정요인들 전환되고 만약 그것들이 어떤 시대에는 생산의 자연적 전제조건들처럼 보일지라도 다른 시대를 위한 역사적 산물이었다(Marx, 1973: 97). 따라서 마르크스에게는 생산 도구들과 다양한 생산 부문들에 사회 구성원들을 분배하는 것이 ‘새로운 생산 시대의 전제조건들로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분배는 … 그 자체로 생산의 산물이다. 일반적으로 역사적 생산의 산물일 뿐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생산양식의 산물이다’(Marx, 1973: 98).

마르크스는 마지막으로 생산과 교환 사이의 관계를 검토했는데 그는 교환 또한 생산의 부분으로 여겼다. 노동력 사이의 ‘활동과 능력들의 교환’ 그리고 최종 생산물을 위해 필요한 원료들의 교환과 생산의 내부적 부문들 사이의 교환뿐만 아니라 상인들 사이의 교환 역시 완전히 생산에 의해 결정되고 ‘생산 활동’을 구성했다. 교환은 오직 ‘생산물이 직접 소비를 위해 교환되는’ 국면에서만 생산으로부터 자율적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 교환의 강도, 규모, 특징적 성격들은 생산의 발전과 구조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모든 계기들에서 … 교환은 직접적으로 생산에 포함되거나 혹은 생산에 의해 규정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생산이 분배, 교환, 소비와 맺는 관계에 대한 분석 마지막에, 마르크스는 두 가지 결론들을 내린다.

1. 생산은 하나의 총체성으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그리고
2. 그 총체성 내의 하나의 특정 부문으로서의 생산이 다른 요소들을 지배한다.

첫 번째 결론에 관해서 마르크스는 ‘우리가 도달한 결론은 생산, 분배, 교환, 소비가 동일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모두 총체성의 구성원이고 통일성 내에 차별성을 갖는다는 것이다'(Marx, 1973: 99). 헤겔주의 총체성 개념 을 사용하여 마르크스는, 이론적 도구를 고전파 경제학자들이 사용한 제한된 추상과정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강화하여 총체성 내의 부분들 사이의 상호 행동에 의하여 구체는 여러 결정요인과 관계들의 차별화된 통일성(Hall, 2003: 127)이라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고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분리된 네 영역이 자의적이고 실제 경제 관계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었다. 하지만 마르크스의 개념에서, 유기적 총체성으로서 생산의 정의는 그 내에서 그 다양한 분야들 사이에서 일치성을 항상 보장하는 어떤 구조화된, 자기 규제적인 전체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었다. 정반대로, 마르크스가 같은 주장을 다루면서『그룬트리세』의 한 부분에서 적었던 대로 생산의 개별적 계기들은 ‘서로를 발견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서로 균형을 맞출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서로에게 조응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서로에게 속하는 내적 계기들의 필연성, 그리고 그것들의 서로 간을 향한 무관심하고 독립적인 실재는 이미 모순들의 근거다’. 마르크스는 그 모순들을 생산 일반이 아니라 자본주의 생산에 관련하여 분석하는 것이 항상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는데 자본주의 생산은 고전파 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대로 결코 ‘생산력 발전의 절대적 형태’가 아니었고 과잉생산이라는 ‘근본적 모순’을 지니고 있었다(Marx, 1973: 415).

마르크스의 두 번째 결론은 생산을 ‘생산의 총체성(otalität der Production)에서 다른 부분들’에 대한 ‘지배적 계기’(übergreifende Moment )로 만들었다(Marx, 1973: 86). 생산은 ‘과정이 항상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 되돌아오는’ ‘진정한 출발점’(Ausgangspunkt )이고 그래서 ‘특정 생산은 이 다른 계기들 사이의 관계들을 규정할 뿐 아니라 특정 소비, 분배, 교환을 규정한다’(Marx, 1973: 99). 그러나 그런 우위는 다른 계기들의 중요성이나, 다른 계기들이 생산에 미치는 영향력을 없애지 않았다. 소비의 규모, 분배의 변형들, 교환 영역 혹은 시장의 크기 모두가 결합하여 생산을 규정하고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다.

여기에 다시 마르크스의 통찰은 이론적이고 정치적인 가치를 모두 지녔다. 유통의 도구를 변형시킴에 의해 지배적 생산관계를 혁명적으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던 그 시대의 다른 사회주의자들에 반대하여 마르크스는 이런 주장은 ‘생산관계, 분배관계, 유통관계 사이의 내적 연관’에 대한 ‘그들의 잘못된 이해’를 명확히 보여준다고 주장했다(Marx, 1973: 122). 왜냐하면 화폐 형태에서의 어떤 변화는 생산관계와 생산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다른 사회관계들을 변경하지 않은 채 남겨둘 뿐 아니라 유통은 오직 생산관계의 변화와 함께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주장은 난센스임이 밝혀질 것이기 때문이다.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사회의 악은 은행들의 ‘변형’, ‘합리적 화폐체계’ 건설, 무료 신용을 보장하는 맹목적 임시처방, 노동자들을 자본가들로 전환시키는 망상(chimera)으로 교정될 수 없다고 확신했다(Marx, 1973: 134). 핵심 문제는 임금 노동을 극복하는 것이고 최우선이자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과 관련된 것이었다.

방법을 찾아서
마르크스는 이 지점에서 중요한 방법론적 문제를 다루었다: 어떻게 현실을 사고에서 재생산할 것인가? 어떻게 사회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추상적 개념 모델을 구성할 것인가? 그의 ‘서설’에서 세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과학적 표현과 실제 운동 사이의 관계’에 할애됐다(Marx, 1973: 86). 그렇지만, 그것은 확정된 사고가 아니었고 이 문제를 이론화하는 아직 불충하게 발전된 방식을 제공할 뿐이고 단지 몇몇 의견들을 스케치하는 것이다. 어떤 문장들은 때때로 서로 모순되는 불명료한 주장들을 담고 있는데, 한번이 아니라 몇 번이고 헤겔주의 용어법에 영향받은 언어를 사용하여 글의 애매모호함을 더한다. 마르크스는 이 대목을 쓸 때 그의 방법을 정교화하려고 했었고, 따라서 이 대목은 그 탐색의 자취와 궤적들을 보여준다.

이전의 위대한 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마르크스는 어디서 출발할 것인지의 문제, 또는 그의 경우, 정치경제학에서 분석의 출발점은 무엇이 되어야 하나에서 시작했다. 그가 검토한 첫 번째 가정은 ‘실제 전제조건을 가진 현실적인 것과 구체적인 것’으로부터 ‘전 사회적 생산 행위의 토대이자 주체’인 인구에서 시작한다는 가정이었다(Marx, 1973: 100). 마르크스는, 정치경제학의 창설자들인 페티(William Petty)와 보아규베르(Pierre de Boisguillebert)가 취했던 이 경로는 불충분하고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인구와 같이 비규정적 실체로 시작하는 것은 전체에 대해 지나치게 포괄적 이미지를 포함하게 될 것이었다. 그러면 계급으로 분할(부르주아지, 지주, 프롤레타리아트)을 보여주지 못하게 될 것이었는데, 왜냐하면 이 계급들은 오직 그들 각각의 토대들인 자본, 토지 소유, 임금 노동에 대한 지식을 통해서만 구별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자본, 토지 소유, 임금 노동과 같은 것에 대한 경험적 접근은, 국가 같은 구체적 요소들을 노동 분업, 화폐 또는 가치 같은 추상적 규정들로 분해시킬 것이었다. 비록 이 방법이 현실 해석을 위해서는 불충분하다고 판단했음에도 불구하고,『그룬트리세』의 다른 부분에서 마르크스는 ‘이 방법은 정치경제학의 시초의 잠정적 단계들에서 역사적 가치를 가졌다’고 인정했는데, ‘그때는 경제 형식들이 내용들에서 여전히 힘들여 벗겨져 나와야 했고, 많은 노력을 들인 대가로 적절한 연구 대상이 정해졌다’(Marx, 1973: 853).

18세기 경제학자들이 그들의 추상적 범주들을 정의하자마자 ‘경제학적 체계들이 시작되었는데, 그 체계들은 노동, 노동 분업, 필요, 교환가치 같은 단순한 관계들로부터 국가, 국가들과 세계시장에서의 교환이라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경제학에서 스미스와 리카도에 의해 전개된 이 절차는, 철학에서 헤겔에 의해서도 적용되었는데 이 주장은 ‘사고를 통해 추상적 규정들이 구체적인 것의 재생산으로 나가게 된다’는 테제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마르크스가 ‘과학적으로 올바른 방법’(wissenschaftlich richtige Methode)이라고 묘사한 것이다. 올바른 범주들이 있다면, ‘여정을 되밟아서 결국 인구에 다시 도달하게 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제는 전체에 대한 혼란스런 개념이 아니라 여러 결정요인들과 관계들의 풍부한 총체성으로서’다(Marx, 1973: 100–101). 사실, 헤겔은『논리학』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 과학을 위한 첫째 필수조건은 [다음으로] 시작하는 것이라고 썼었다.

하나의 보편적 형태의 주제로 [시작하는 것이다] … 앞부분(prius)의 것은 반드시 … 단순한 것, 구체로부터 추상된 것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형태에서는 주제가 그 스스로 동일한 보편성의 형태를 갖기 때문이다. … 추상적 단순 사고 결정을 인식하는 것이 구체적 주제보다 더 쉬운데, 그 구체적 주제는 그런 사고 결정요인들과 그 결정요인들 간 연관들의 다층적 연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 그 보편성은 즉자 그리고 대자적으로 개념의 첫 번째 계기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단순 계기이기 때문이고, 특수자는 오직 보편자에 후속하는데 왜냐하면 특수자는 매개된 계기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단순한 것이 더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것은 이미 보편적인 것으로부터의 변형을 전제한다(Hegel, 1969: 800).

‘서설’에 대하여 일부 논평자들이 주장했던 것과 반대로, 마르크스의 ‘과학적으로 올바른 방법’의 정의대로 마르크스 자신이 모든 이후 작업을 수행한 것은 아니었다(Marx, 1973: 101). 무엇보다, 마르크스는 관념 수준에서 구체적인 것을 논리적으로 재구축하는 것이 현실의 충실한 복제라는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확신을 공유하지 않았다(Dal Pra, 1965: 461). ‘서설’에서 종합적으로 제시된 방법은 헤겔의 방법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빌려왔다는 것은 진실이다. 그러나 그 방법은 또한 커다란 차이들을 보여준다. 그 이전 시대의 헤겔 같이, 마르크스는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상승은 사고가 구체적인 것을 전유하는 유일한 방법이고, 사고에서 현실의 재구성은 가장 단순하고 가장 일반적인 결정요인들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확신했다. 더욱이 두 사람 모두 구체적인 것은 ‘많은 결정요인들의 집적이고, 그래서 다양한 것의 통일’이었다. 비록 마르크스는 구체적인 것은 ‘관찰(Anschauung)과 개념화의 출발점’이라는 것을 명심하는 것이 항상 필수적이라고 여겼지만 구체는 사고에서 ‘출발점이 아닌 집적 과정으로, 결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이런 공통 기반을 넘어서면 ‘헤겔이 실재하는 것을 사고의 산물이라고 생각하는 환상에 빠졌던’ 반면, 마르크스는 ‘사고는 결코 구체적인 것 스스로가 존재하게 되는 과정이 아니’라고 본 차이점이 있었다. 마르크스가 주장하길, 헤겔적 관념주의에서, ‘범주들의 운동은 실제 생산 행위로 나타난다. … 범주들의 운동이 세계를 생산했다’. ‘개념적 사고가 실제 인간 존재’ 이고 ‘그래서 개념적 세계 자체가 유일한 현실’로, 관념들로 실제 세계를 표현할 뿐 아니라 관념들이 세계의 구성 과정으로 작동한다. 반면에 마르크스는 경제적 범주들이 ‘이미 주어진 구체적이고 살아있는 전체 내에서 추상적 관계[들]로서’ 존재한다(Marx, 1973: 101). 이 범주들은 ‘존재의 형태들, 실존의 결정요인들(Daseinsformen, Existenzbestimmungen)을 표현한다’(Marx, 1973: 106). 예를 들어, 교환가치는 인구와 그 인구가 규정된 관계들 속에서 생산한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마르크스는 헤겔에 반대하여, ‘사고의 총체성이자 구체적 사고인 구체적 총체성은 사실 사고행위와 이해하기의 산물이지만, ‘어떤 경우에도 스스로 생각하고 생성하는 개념의 산물은 아니’라고 몇 번이나 강조했다. 왜냐하면 ‘실제 주체는 이전과 꼭 같이 두뇌 바깥에 자신의 자율적인 실체를 가지고 있다 … 따라서 이론적 방법에서 역시 사회라는 주체는 반드시 항상 전제조건으로 염두에 두어야 한다’(Marx, 1973: 101–102).

하지만 실제로는 마르크스의 해석은 헤겔 철학을 공정히 다루지 않는다. 헤겔 저서의 많은 문장들은 피히테(Johann Gottlieb Fichte)의 초월적 관념주의와 셀링(Friedrich Schelling)의 객관적 관념주의와 달리 헤겔의 사상이 지식의 운동을 자연의 질서와, 주체를 객체와 혼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래서『철학사전』의 두 번째 문단에서, 헤겔은 분명하게 쓰기를,

사물들에 대한 사고 연구는 일반적으로 철학에 대한 하나의 묘사가 될 수도 있다. … 엄밀하게 인간적이며 사고가 유발한 의식의 현상은 원래 사고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느낌, 지각, 정신적 이미지로 나타나는 데 이 모든 양상들은 진정한 사고 형태와 구별되어야 한다(Hegel, 1892: 4).

『법철학』에서도 간스(Eduard Gans)에 의해 1827년의 두 번째 판 에 32번째 문단에 첨가된 일부 문장들은 마르크스의 헤겔 해석의 오류를 확인할 뿐 아니라 마르크스 자신의 생각에 영향을 미친 방식을 실제로 보여준다(Jánoska et al, 1994: 115–119).

우리는 소유가 가족 이전에 존재했다(dagewesen)고 말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소유를 맨 처음 다뤄야 한다. 그러면 당신은 왜 우리가 가장 고도의 지점에서, 즉, 구체적으로 진실인 것에서 시작하지 않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대답은 우리가 찾는 것은 정확히 결과의 형태를 띤 진실이고,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추상적 개념 자체를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본질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개념이 체현된 실제 모습은 현실 세계에서는 그 자체로 일차적이지만 우리에게는 이차적이고 후속적이다. 우리가 연구하고 있는 그 발전은 추상적 형태들이 그들 자신을 자립적으로가 아니라 거짓 형태들로 드러내는 것이다(Hegel, 1952: 233).

‘서설’에서 마르크스는 곧이어 단순한 범주들이 더 구체적인 범주들 전에 앞서 그 범주들과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지를 묻는다. 헤겔이『법철학』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점유나 소유 범주의 경우 마르크스는 이 범주가 가족 같은 ‘더 구체적인 관계들’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존재할 수 없었고 ‘개별 야만인’을 하나의 자산 소유자로 분석하는 것은 터무니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질문은 더욱 복잡하다. 왜냐하면, 화폐는 ‘역사적으로 자본이 존재하기 이전에, 은행들이 존재하기 이전에, 임금 노동이 존재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Marx, 1973: 102). 화폐는 더 복합적 현실들의 발전보다 먼저 나타났고, 따라서 어떤 경우는 논리적 범주들의 배열이 보다 발전되고 보다 최신의 역사적 배열을 따라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Marx, 1973: 247). 그래서 ‘단순한 것에서 결합된 것으로 상승하는 추상적 사고의 경로는 실제 역사적 과정과 조응할 것이다’(Marx, 1973: 102). 하지만 고대에서 화폐는 오직 교역하는 민족들에게서만 지배적 기능을 수행했다. 그래서 화폐가 ‘완전한 모습으로 역사적으로 출현한 것은 오직 사회의 가장 발달된 조건들에서만 나타난다’. 또는 ‘비록 더 단순한 범주가 더 구체적 범주 이전에 역사적으로 존재했을 수도 있지만, 그것의 완전한 (내포적이고 외연적인) 발전은 정확히 결합된 형태의 사회에서 성취할 수 있다’.

이 결론은 노동 범주에 더 잘 적용된다. 왜냐하면 비록 노동은 인간 최초의 문명화와 함께 출현했고 매우 단순한 과정으로 보이지만, 마르크스는 ‘그것을 경제적으로 생각할 때 … ‘노동’은 이 단순한 추상을 창조하는 관계들이 그러하듯 근대적 범주’라고 강조했다(Marx, 1973: 103). 중금주의와 중상주의 옹호론자들은 부의 원천은 화폐에 새겨져 있고, 화폐는 그래서 노동보다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 후에 중농학파들은 노동은 부의 궁극적 창조자지만, 그러나 오직 농업노동 형태에서 그렇다고 주장했다. 스미스의 저서는 최종적으로 이러한 ‘부를 창조하는 활동을 제한적으로 특정화하는 것’을 종결지었다. 그래서 이제 노동은 더 이상 하나의 특수한 형태로서가 아니라 ‘제조업, 상업, 농업 노동으로서뿐 아니라, 하나가 아니라 나머지도 더한 ‘노동 그 자체로’ 간주되었다. 이렇게 ‘인간들이 어떤 형태의 사회에서도 생산자 역할을 하는 가장 단순하고 가장 오래된 관계에 대한’ ‘추상적 표현’이 발견되었다. 화폐의 경우에서처럼, ‘노동’의 범주는 오직 ‘가능한 가장 풍부한 구체적인 발전’이 있는 곳, ‘하나의 사물이 다수에게, 모두에게 공통으로 나타나는 곳인’ 어떤 사회에서만 추출될 수 있었다. 그래서 ‘특정한 노동의 종류와 무관한 노동은 그 속에서 어떤 하나의 노동이 더 이상 지배적이지 않은, 실제 하는 노동 종류들의 매우 발전된 총체성을 전제한다’.

게다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 일반’은 하나의 범주일 뿐 아니라 ‘개인들이 한 종류의 노동에서 다른 종류의 노동으로 쉽게 이전할 수 있는 사회, 노동의 종류가 변화 대상이므로 중요하지 않은 사회와 조응한다’. 노동자의 노동은 과거에 그 노동이 가졌던 집단적, 공예적 성격을 잃고 ‘노동 일반’, ‘한마디로(sans phrase) 노동’, ‘범주로서 노동뿐 아니라, 실제 노동’이 된다(Marx, 1973: 104). 임금 노동은 ‘이 노동 혹은 또 다른 어떤 노동이 아니라 개별적 특수성(Bestimmtheit)에 완전히 무관심하고 모든 특수성들을 포괄할 수 있는 순수하고 단순한 노동, 추상 노동이다’(Marx, 1973: 297). 요약하면, 노동은 ‘순전히 역학적 활동에 관한 것이고 그 특수한 형태는 상관없는’ 문제다(Marx, 1973: 297).

가장 단순한 범주들과 가장 구체적인 범주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 마지막에서 마르크스는 가장 현대적인 부르주아 사회 형태들에서 – 그는 미국을 염두에 두었다 – ‘노동 일반’이라는 범주의 추상이 ‘현실에서 진실’이 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그래서 ‘근대 경제학이 그 논의들의 꼭대기에 놓고 헤아릴 수 없이 오래된 관계로 모든 사회 형태들에 유효한 것으로 표현된 … 가장 단순한 추상이 실제로는 가장 근대적인 사회의 범주로서의 추상일 때 그 실질적 진리를 성취한다’(Marx, 1973: 104–105). 혹은, 마르크스가『그룬트리세』의 다른 곳에서 재확인하였듯이, 그 범주는 ‘어떤 특수한 물질적 생산양식의 발전과 함께 그리고 산업의 생산력의 발전에서 어떤 특수한 단계의 발전과 함께일 때만 오직 실재가 된다’(Marx, 1973: 297).

하지만 노동의 특수한 종류에 대한 무관심은 많은 역사적 현실들에 공통적인 현상이다. 그래서 이 경우 또한, 차이들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적으로 뭐든지 노동하는 야만인과 자신의 노동을 모든 것에 적용시킨 문명인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다시 한 번 추상을 실제 역사와 관련시키면서, 마르크스는 그의 테제를 확증시켰다. 이 노동의 사례는 심지어 가장 추상적 범주들조차도 정확히 그 추상성 때문에 모든 시대에 유효함에도 불구하고 그 추상성의 특정 성격에서 역사적 관계의 생산물처럼 보이기도 하고 그 완전한 유효성은 오직 이런 역사적 관계들 내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두드러지게 보여준다(Marx, 1973: 105).

이 요점을 지적하고서, 마르크스는 또 다른 핵심적 문제로 전환했다. 그가 쓰려고 하는 저작에서 어떤 순서로 범주들을 배치시켜야 하나? 복합성이 단순성을 이해시키는 수단이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라는 질문이었다. 그는 명확하게 첫 번째 경우를 선택했다. 부르주아 사회는 생산의 가장 복잡한 역사적 조직이다. 그 관계들을 표현하고, 구조를 이해시키는 범주들은 따라서 파괴된 사회 구성의 잔해들과 부르주아 사회가 이를 통해 건설된 요소들로 부르주아 사회와 함께 여전히 정복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잔존물에 대한 통찰 역시 가능하게 한다(Marx, 1973: 105).

과거를 재구성하기 위한 지표들을 제공하는 것은 현재다. ‘인간 해부학은 원숭이 해부학의 열쇠를 함유하고 있고 …〔그리고〕그 하위 동물 종들 사이의 보다 높은 발달을 시사하는데 … 이것은 오로지 더욱 고도의 발달이 이미 알려진 이후에만 이해될 수 있다’(Marx, 1973: 105). 하지만 이 유명한 주장은 진화론의 용어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 마르크스는 ‘가장 최근의 형태들이 이전의 형태들을 자신에게 이르게 되는 단계들이라는 진부한’, ‘소위 역사적 진화’의 개념을 명시적으로 비판했다(Marx, 1973: 106). 가장 단순한 유기체들에서 가장 복잡한 유기체들로 점진적으로 나간다는 순진한 궤적을 그렸던 진화론 이론가들과 달리 마르크스는 반대로 훨씬 더 복합적인 논리적 방법을 사용하기를 선택했고, 생산양식들(고대, 아시아적, 봉건적, 자본주의)의 계승에 의해 표현되는 역사에 대한 어떤 개념화를 정교화했는데, 그것은 범주들이 그 다양한 양식들 내에서 지니는 지위와 기능들을 설명하는 것을 의미했다(Hall, 2003: 133). 따라서 비록, 이 사회들의 엄청난 차이들을 고려할 때 그 단서들이 조정될 필요가 있지만, 이전의 역사 시대들의 경제들을 이해하기 위한 단서들을 제공하는 것은 부르주아 사회다. 마르크스는 ‘모든 역사적 차이들을 흐리게 하고 모든 사회 형태들에서 부르주아 관계들을 보는 경제학자들의 태도로는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반복하여 강조했다(Marx, 1973: 105).

비록 이 주장은 이전 저작들에서의 표현된 입장과 동일 선상에 있지만, 마르크스는 여기서 경제적 범주들에 할당되어야 할 순서에 관한 골치 아픈 문제와 이전과는 다르게 씨름한다. 그는『철학의 빈곤』에서 ‘사건들의 순서에 따른 것이 아니라 관념들의 계승에 일치하여 역사’를 구성하려는 푸르동의 희망에 반대하여(Proudhon, 1972: 184), 마르크스는 ‘사고의 운동에 의해 세계를 구성하겠다는’ 사상을 비판했다(Marx, 1976: 175). 그래서 1847년에 마르크스는 프루동과 헤겔에 의해 채택된 논리변증법적 방법에 대한 논쟁에 의거해 엄격하게 역사적인 순서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10년 후 ‘서설’에서 그의 입장은 변화했다. 마르크스는 역사적-실증적 점검이라는 논리적 방법을 선호하여 과학적 범주들에 대한 연대기적 계승이라는 기준을 버렸다. 현재가 과거를, 인간의 구조가 원숭이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에 가장 성숙한 단계인 자본주의 사회에서부터,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 다른 모든 요소를 지배하는 요소인 자본으로부터 분석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했다. ‘자본은 부르주아 사회의 모든 것을 지배하는 경제적 권력이다. 자본이 반드시 종착점뿐 아니라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Marx, 1973: 107). 그리고 마르크스는 이렇게 결론 내렸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결정된 순서와 같은 순서에 따라 경제적 범주들을 배치하는 것은 실행할 수도 없고 잘못된 것이다. 그 배치는 범주들의 자연스러운 순서나 역사적 발전에 조응하는 순서와 정확히 반대되는 근대 부르주아 사회에서의 상호 관계로부터 결정되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사회 형태들의 계승에서 경제적 관계들의 역사적 지위가 아니다. 더욱이 그것의 ‘관념상의’ 순서(프루동식의 역사적 운동의 흐릿한 개념)는 더욱 아니다. 오히려, 근대 부르주아 사회에서 그것들의 배치다(Marx, 1973: 107–108).

본질적으로, 범주들을 정확한 논리적 순서에서 정리하는 것과 실제 역사가 작동하는 것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더욱이, 마르크스가『자본론』 3권을 위한 수고들에서 썼듯이, ‘만약 사물의 외양과 본질이 직접적으로 일치한다면, 모든 과학은 필요치 않을 것이다’(Marx, 1998: 804).

마르크스는 구체적 요소들을 추상적 정의들로의 해소시켰던 초기의 경제학자들의 경험주의로부터, 현실에 대한 사고를 현실 자체로 환원시켰던 고전 경제학자들의 방법으로부터, 사고에 구체적인 것을 생산하는 능력을 주었다고 마르크스가 비난했던 그가 보기엔 헤겔의 철학을 포함한 철학적 관념주의로부터, 사고 형식들과 객관적 현실을 엄격히 대치시키는 영지주의(gnoseological) 개념들로부터, 역사주의와 그것의 논리를 역사로 해소시키는 것으로부터, 마지막으로 ‘역사의 행진’(Marx, 1976: 172)을 따랐던『철학의 빈곤』에서 그 스스로 확신했던 것으로부터 분기하여 그 자신의 종합에 도달했던 것이었다. 구체적인 것과 사고 사이의 일대일 대응을 확립하는 것에 대한 마르크스의 혐오는 그가 사고의 특수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것이 사고와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인정함으로써 그 둘을 분리하게 만들었고 그래서 범주들의 설명 순서는 그 범주가 실제 역사적 과정의 관계들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순서와 달라졌다(Althusser and Balibar, 1979: 47–48, 87). 인식과정이 역사에서 발생했던 단계들의 단순한 반복으로 제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추상의 과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했고 이를 통해 사회의 모든 복잡함 속에서도 사회를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한편, 이 목적에 진정으로 유용하려면, 추상은, 일반적인 논리적 결정요인들과 구체적 역사적 관계들이 구별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역사적 현실들과 계속해서 비교되어야 했다. 그렇게 해서 마르크스의 역사 개념은 효험과 예리함을 획득할 수 있었다. 논리적 순서와 실제 역사적 순서의 대칭을 거부하자 역사는 현실 이해에 결정적인 것이 되었고 한편, 논리는 역사를 평이한 사건들의 연대기가 아닌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마르크스에게는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모든 경제적 관계의 역사적 발생을 재구성하고 그에 대해 적절하게 묘사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는『그룬트리세』의 한 문장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우리의 방법은 역사적 탐구가 반드시 개입해야 할 지점들, 혹은 단지 생산 과정의 한 역사적 형태로서의 부르주아 경제가 이전의 역사적 생산양식을 넘어선 지점이 어디 인지를 보여준다. 따라서 부르주아 경제 법칙들을 발전시키기 위해 생산관계의 실제 역사를 쓰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그 자체로 역사가 된 이 경제 법칙들의 올바른 관찰과 추론은 항상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 즉, 체제 배후에 과거가 있다는 것을 알려 준다. 이점은 현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과거를 이해하는 열쇠를 제공한다. … 이 올바른 관점은 마찬가지로 생산관계의 현재 형태를 극복하는 미래의 전조들과 생성의 운동들에 대한 지점들로 이끈다. 한편, 전(前) 부르주아 국면들이 단순히 역사적으로, 즉, 대체할 수 있는 전제들로 나타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생산의 현대적 조건들도 마찬가지로 자신을 대체하는 데 연루되고 그래서 새로운 사회를 위한 역사적 전제조건들로 상정된다(Marx, 1973: 460–461).

마르크스에 의해 발전된 방법은 생산이 역사속에서 표출했던 모든 생산양식들 사이의 차이들을 이해할 뿐 아니라, 새로운 생산양식을 제시하는 현재의 경향을 포착하여 자본주의의 불변성을 선언하는 모든 사람들을 비판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마르크스에게 제공했다. 마르크스의 연구는, 인식론을 포함하여, 결코 배타적으로 이론적 동기에 의해 수행되지 않았다. 그의 연구는 항상 정치 투쟁에 더 잘 개입하기 위해 세계를 해석할 필요에 의해 추동됐다. 사실, 마르크스는 방법에 관한 부분을 그의 ‘경제학’을 쓸 때 의도한 하나의 순서를 나열하는 것으로 끝냈다. 이것은 마르크스의 생애 동안 그가 작성했던 그의 작업에 대한 수많은 계획 중에 최초의 것인데, ‘서설’에서 전술한 부분들에 대한 숙고들을 재반영한 것이었다. 실제로 그가『그룬트리세』를 작성하기 전에, 그는 아래와 같은 것을 다루려 했다.

(1) 거의 모든 사회 형태들에 존재하는 일반적, 추상적 결정요인들 그리고 나서 (2) 부르주아 사회 내부 구조를 구성하고 기본 계급들의 바탕이 되는 범주들인 자본, 임금 노동, 토지 재산 (3) 그 내부 관계로 보았을 때 국가 형태로의 부르주아 사회의 집중 (4) 국제적 생산관계 … 국제적 교환 그리고 (5) 세계시장과 위기들(Marx, 1973: 108).

이것이 적어도 1857년 8월의 마르크스의 계획이었는데, 나중에 매우 많은 변화를 겪었다.

물질적 생산과 지적 생산 사이의 불균등 관계
‘서설’의 마지막 절은 마르크스가 그의 저작에서 취급하려고 의도했던 짧고 단편적인 여덟 개 주장들의 목록에 덧붙여 그리스 예술과 근대사회 사이의 관계에 대한 고찰들로 구성된다. 여덟 가지 요점들에 대하여 마르크스가 주되게 고려해 썼던 것은 임금 노동의 특징들은 부르주아 사회에서보다 더 일찍이 군대에서 표현되었다는 확신,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변증법에 관한 생각, 생산관계와 법적 관계 사이에 그가 ‘불균등발전’(ungleiche Entwicklung)이라고 불렀던 것, 특히 로마 민법으로부터 발생기의 부르주아 사회의 법의 도출이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은 어떠한 구조도 없는 메모일 뿐이어서 단지 이 문제들에 대한 마르크스 사고의 희미한 아이디어만을 제공할 뿐이다.

그의 예술에 대한 평가들은 좀 더 발전되어, ‘물질적 생산과 예술적 발전 사이의 불균등 관계(ungleiche Verhältniß)’에 초점을 맞추었다(Marx, 1973: 109). 마르크스는 이미 두 초기 자작들에서 생산과 의식 형태들 사이의 관계를 다뤘다.『1844년 경제학 철학 수고』에서, 마르크스는 ‘종교, 가족, 국가, 법률, 과학, 예술 등은 단지 특수한 생산양식들이고, 생산양식의 일반적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고 주장했으며’(Marx, 1975b: 297),『독일 이데올로기』에서 그는 이렇게 주장했다. 관념의, 개념의, 의식의 생산은 인간의 물질적 활동 및 물질적 교류와 가장 우선 직접적으로 결합된다. … 인간의 인지, 사고, 정신적 교류는 이 단계에서 물질적 행위의 직접적 발산(direkter Ausfluß)으로 나타난다(Marx and Engels, 1976: 36). 『 』

그렇지만, ‘서설’에서는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나중에 주창했던 엄격한 종류의 병행성에 대한 단언과는 매우 다르게, 마르크스는 사회·경제적 발전과 예술적 생산 사이에 직접적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마르크스는 그가 읽고 1852년 수고들에 발췌했던 시스몽디(Leonard Simonde de Sismondi)의『남부유럽 문학에 관한 역사적 관점』의 특정 견해들에 대해 재해석하면서 마르크스는 이렇게 썼다. ‘예술의 경우, 그것이 꽃피는 시기가 사회의 일반적 발전, 따라서 그 물질적 토대(materiellen Grundlage), 그 사회 조직의 … 골격 구조와 조화를 이루지 않는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어떤 예술 형식을 예를 들며, 서사시는 ‘오직 예술적 발전의 미발전의 단계에서만 가능하다. 만약 예술의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예술들 사이의 관계에 적용된다면, 예술의 전체 영역과 일반적 사회 발전 사이의 관계에서도 그렇다는 것은 이미 덜 당혹스러운 것'(Marx, 1973: 110)이라고 지적했다. 그리스 예술은 그리스 신화, 말하자면, 사회적 형태들이 ‘무의식적으로 예술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전제한다. 그러나 근대 같은 진보된 사회에서는 사람들은 자연을 합리적으로 인식하고 자연이 사람들을 억누르고 공격하는 외적인 힘으로 생각하지 않으므로, 신화는 그 존재이유(raison d’’être)를 잃고, 서사시는 더 이상 반복될 수 없다. ‘탄약(powder and lead)이 있는 데서 아킬레스가 가능할까? 혹은 인쇄기가 있는 데서 일리아드가 가능할까? 서사시의 노래와 영웅전설(saga)과 뮤즈의 신은 인쇄업자의 공장과 함께 끝나고, 그래서 서사시의 필수 조건들이 사라지지 않았나?’(Marx, 1973: 111)

그렇다면, 마르크스에게 예술과 지적 생산 일반은 반드시 사회의 물질적 조건들과 그들이 맺는 관계 속에서 탐구되어야 하지만 두 영역들 사이의 엄격한 조화를 이끌어 내려고 해서는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그는 ‘우리가 고대인들보다 기술에서 더 앞서 있기 때문에’ ‘우리는 또한 서사시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고 사고하는 볼테르의 오류(마르크스에 의해서 그의 1861-3년 수고들에서 상기되었다)에 빠지게 될 것이다(Marx, 1989a: 182–183).

예술가를 하나의 창조하는 주체로 생각하면서, 마르크스는 예술적 생산과 그로부터 즐거움을 얻어내는 대중을 다룬다. 이 문제는 해석상에 엄청난 어려움들을 주었다. ‘그리스 예술과 서사시가 사회적 발전의 특정 형태들과 결합되어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여전히 우리에게 예술적 즐거움을 제공하고 어떤 점에서 그것들이 규범으로 그리고 도달 불가능한 모델로서 간주된다는 것이다’. 진정한 문제는 고대 예술 창조물들이 왜 여전히 현대인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원천이 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그 대답은 그리스 세계는 ‘인류의 역사적 유아기’, ‘결코 돌아갈 수 없는 단계로서’ ‘영원한 매력’을 발휘하는 시기를 대표한다는 것이다(Marx, 1973: 111). 그래서 결론은,

우리에게 있어서 그들의 예술 매력은 그 예술이 성장한 사회의 미발전된 단계와 모순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 매력은 사회의 미발전단계의 결과로 그 예술이 발생했고 그 조건에서만 발생할 수 있었으며 결코 다시 돌아갈 수 없는 미성숙된 사회조건과 … 불가분하게 결합돼 있다(Marx, 1973: 111).

‘서설’에서 미학에 대한 마르크스의 언급들이 가지는 가치는 그렇지만, 그 대략적인 언급이나 그 언급들에 제공하는 종종 설득력 없는 해결책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어떻게 물질적 생산 형태들이 지적 창조나 행동과 연결되는지에 대한 마르크스의 반 독단적 접근에 있다. 둘 사이의 ‘불균등발전’에 대한 그의 의식은 사회적 총체성의 다양한 영역들 사이의 단일한 관계를 상정하는 어떠한 도식적 절차도 거부하는 것을 의미했다(Marx, 1973: 109). 마르크스가 ‘서설’을 쓰고 나서 이 년 뒤에 출판된『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서문’의 더욱 잘 알려진 테제인 ‘물질적 생활의 생산양식이 사회, 정치, 지적 생활의 일반적 과정을 조건 짓는다’(Marx, 1987a: 263)는 말은 결코 결정론적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 사회 상부구조에서의 현상들은 단지 인류의 물질적 조건의 반영일 뿐이라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편협하고 너무 뻔한 독해로부터 이 테제는 확실히 구분되어야 한다.

결론
마르크스가『그룬트리세』를 착수하였을 때, 그는 자신의 ‘경제학’ 연구방법론에 관한 부분을 서문에 쓰려고 했다. ‘서설’은 단지 자기 명료화를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만은 아니었다. ‘서설’은 다른 경제학자들의 저작들에서처럼, 저자의 일반적 주제에 관한 예비적 논평들을 포함할 계획이었다. 그렇지만, 1859년 6월에 마르크스가 그의 연구들의 첫 부분을『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로 출판하기 위하여 보냈을 때, 그는 자신의 동기를 다룬 부분을 제외하기로 결심했다.

내가 초안으로 작성하였던, 일반적 서설을 생략했다. 왜냐하면 더 깊이 고려하였을 때 여전히 입증되어야 하는 결과들을 앞질러 내는 것이 내게 혼란스러워 보였기 때문이고, 진정으로 나를 따르기를 원하는 독자들은 특수한 것에서부터 일반적인 것으로 전진(von dem Einzelnenzum Allgemeinen aufzusteigen)하기를 결심해야 될 것이기 때문이다(Marx, 1987a: 261).

그래서 1857년의 분석의 길잡이였던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상승’은 1859년 텍스트에서 ‘특수한 것에서 일반적인 것으로 전진’으로 바꿨다(Marx, 1987a: 261). ‘서설’의 출발점이었던 가장 추상적이고 보편적 결정요인들은 구체적이고 역사적으로 결정된 실재인 상품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1857년 텍스트가 출판되지 않은 채로 남았기 때문에, 그런 변화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제시되지 않았다. 사실『그룬트리세』의 마지막 문장에서 이미 그가 꼼꼼하게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정치경제의 개념들을 수백 페이지에 걸쳐 분석한 뒤 마르크스는 ‘부르주아의 부가 자신을 표현하는 첫 번째 범주는 상품 범주’라고 주장했다(Marx, 1973: 881). 그는 상품에 대한 탐구에『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와『자본론』둘 모두의 첫 장을 할애했는데 여기서 상품을 특별히 이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가 시작되어야 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적 형태’(Marx, 1996: 45)라고 정의했다.

계획된 서설 대신, 마르크스는 그의 지적 일대기와 소위 역사의 유물론적 개념을 간명하게 요약한 짧은 ‘서론’으로 1859년의 저작을 시작했다. 그 후에 그는 매우 드문 경우들을 제외하고 약간의 짧은 논평들 이외에 더 이상 방법에 관한 논의에 관여하지 않았다. 이들 중 확실히 가장 중요한 것은『자본론』초판의 1873년의 ‘후기’였는데, 그곳에서 자본론의 출판에 따른 논평들에 자극받아, 그는 자신의 탐구 방법에 관하여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었고 ‘서설’에 있는 주제들의 일부를 다시 논의했다. 이렇게 한 또 다른 이유는 마르크스가 설명 방법과 탐구 방법 사이의 차이들을 주장할 필요를 느꼈기 때문이었다. 설명 방법은 일반적인 것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보편적 형태에서 역사적으로 결정된 형태들로 이동하고 그래서 1857년의 정식화인 ‘추상에서 구체로의 상승’을 적용할 수 있지만, 탐구 방법은 직접적인 현실에서 시작해야 하고 그래서 1859년에 말했듯이 ‘특수에서 일반으로’ 이동해야만 했다.

설명 방법(Darstellungsweise)은 반드시 조사 방법(Forschungsweise)과 형식에서 달라야 한다. 조사 방법은 반드시 소재의 세부사항들까지 알아내야 하고 발전의 서로 다른 형태들을 분석하고 그 형태들의 내적 연관성을 찾아내야 한다. 이런 작업을 수행한 이후에야 실제적 운동이 제대로 묘사될 수 있다(Marx, 1996: 19).

1857년 ’서설‘ 이후 저작에서 마르크스는 더 이상 방법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이에 대한 저작이 가지는 특징인 공개적이고 문제제기 방식으로 글을 쓰지 않았고 그의 생각들이 도출된 복잡한 발생적 기원에 대해 무시하지 않으면서 그의 최종 생각만을 표현했다(Carver, 1975: 135). 바로 이런 이유로 ‘서설’의 내용은 극히 중요하다. 몇몇 가장 위대한 경제학자들과 철학자들의 사상과의 밀접한 만남 속에서 마르크스는 분명한 확신을 다시 확인했고 중요한 이론적 성취를 이뤘다. 다른 무엇보다 첫째로, 그는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그 사회적 관계의 역사적 특수성을 다시 강조했다. 둘째, 그는 생산, 분배, 교환, 소비를 하나의 총체성으로 고려했는데 그 총체성 안에서 생산이 전체의 다른 부분들을 지배하는 요소를 구성한다. 게다가, 사고에서 현실을 재생하는 것과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순전히 역사적 방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추상을 활용하여 지식의 경로의 건설하는 데서 추상이 가지는 가치를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생산관계와 지적관계의 발전 사이에 존재하는 불균등한 관계를 강조했다.

처음으로 출판된 지 100년 후에, 이러한 깊이 있는 사고 때문에 ‘서설’은 마르크스의 해석자들과 독자들에게 문학적 관점에서도 매력적인 원고일 뿐만 아니라 필수불가결한 이론적 원고가 되었다. 이 점은 미래 세대에 마르크스의 저서를 새롭게 접하는 이들에게도 마찬가지 경우가 될 것이다.

번역 하태규

참고문헌
Althusser, L. and E, Balibar. 1979[1968]. Reading Capital. London: Verso.
Bastiat, F. 1964[1850]. Economic Harmonies. Princeton, NJ: D. van Nostrand Co. Inc.
Carver, T. 1975. Karl Marx: Texts on Method. Oxford: Blackwell.
Dal Pra, M. 1965. La dialettica in Marx. Bari: Laterza.
Della Volpe, G. 1971[1956]. Rousseau e Marx. Rome: Editori Riuniti.
Engels, F. 1980[1859]. “Karl Marx,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n Marx and Engels Collected Works, vol. 16: Marx and Engels 1858–-60. London: Lawrence & Wishart.
Hall, S. 2003[1974]. “Marx’s Notes on Method: A ‘Reading’ of the ‘1857 Introduction’.“ Cultural Studies, vol. 17, No. 2.
Hegel, G. F. W. 1892[1817]. The Logic of Hegel [Encyclopedia of the Philosophical Sciences]. 2nd edn.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1952[1821]. Philosophy of Righ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1969[1812, 1813, 1816]. Science of Logic. London: George Allen & Unwin.
Korsch, K. 1938. Karl Marx. London: Chapman & Hall.
Jánoska, J., M, Bondeli,, K, Kindle and M, Hofer. 1994. Das «Methodenkapitel» von Karl Marx, Basel: Schwabe & Co.
Lukács, G. 1956[1954]. “Karl Marx und Friedrich Theodor Vischer.” in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Ästhetik. Berlin: Aufbau Verlag.
Marx, K. 1973[1857–-1858]. Grundrisse: Foundations of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Rough Draft). Harmondsworth: Penguin.
. 1975a[1843].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Hegel’’s Philosophy of Law.” in Marx Engels Collected Works, vol. 3: Marx and Engels, 1843–-44. Moscow: Progress Publishers, pp. 3–-129.
. 1975b[1844].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44.” Marx Engels Collected Works, vol. 3: Marx and Engels, 1843–-44. Moscow: Progress Publishers, pp. 229–-346.
. 1976[1847]. “The Poverty of Philosophy.” in Marx Engels Collected Works, vol. 6: Marx and Engels 1845–-48. Moscow: Progress Publishers.
. 1981a[1843–-4]. “Exzerpte aus Jean-Baptiste Say: Traité d’’économie politique.” in Marx Engels Gesamtausgabe (MEGA2), vol. IV/2. Berlin: Dietz, pp. 301–-27.
. 1981b[1844]. “Exzerpte aus James Mill: Élemens d’’économie politique.” in Marx Engels Gesamtausgabe (MEGA2), vol. IV/2. Berlin: Dietz, pp. 428–-70.
. 1983[1850]. “Exzerpte aus John Stuart Mill: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in Marx Engels Gesamtausgabe (MEGA2), vol. IV/7: Karl Marx Friedrich Engels Exzerpte und Notizen September 1849 bis Februar 1851. Berlin: Dietz Verlag, pp. 39–-41.
. 1986[1851]. “Exzerpte aus James Steuart: An Inquiry into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in Marx Engels Gesamtausgabe (MEGA2), vol. IV/8: Karl Marx Exzerpte und Notizen März bis Juni 1851. Berlin: Dietz Verlag, pp. 304, 312–-25, 332–-49, 373–-80, 400–-1, 405–-8, 429–-45.
. 1987a[1859].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n Marx and Engels Collected Works, vol. 29: Marx 1857–-61. Moscow: Progress Publishers, pp. 257–-417.
. 1987b[1958]. “Original Text of the Second and the Beginning of the Third Chapter of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n Marx and Engels Collected Works, vol. 29: Marx 1857–-61. Moscow: Progress Publishers, pp. 430–-510.
. 1989a[1861–3]. “Theories of Surplus Value.” in Marx Engels Collected Works, vol. 31: Economic Manuscripts of 1861–-63. Moscow: Progress Publishers.
. 1989b[1872-5]. “Le Capital.” in Marx Engels Gesamtausgabe (MEGA2), vol. II/7, Berlin: Dietz.
. 1996[1867]. “Capital, vol. I.” in Marx and Engels Collected Works, vol. 35: Capital, Vol. I.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 1998[1863–7]. “Capital, vol. III.” in Marx Engels Collected Works, vol. 37: Capital, Vol. III.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Marx, K. and F, Engels. 1976[1845-6]. “German Ideology.” in Marx Engels Collected Works, Vol. 5: Marx and Engels April 1845–-April 1847. Moscow: Progress Publishers.
. 1983. Marx and Engels Collected Works, vol. 40: Letters 1856–-59. Moscow: Progress Publishers.
Mill, J. S. 1965[1848].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vol. I.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Musto, M. 2008. “History, production and method in the 1857 ‘Introduction’.” in Musto(ed.). Karl Marx’s Grundrisse. Routledge.
Negri, A. 1991[1979]. Marx beyond Marx: Lessons on the Grundrisse. New York: Autonomedia.
Proudhon, P. J. 1972[1846]. “System of Economical Contradictions or, The Philosophy of Misery.” in Works of P. J. Proudhon, vol. IV: The Evolution of Capitalism. New York: Arno Press.
Ricardo, D. 1973[1817].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 London: J.M. Dent & Sons.
Roscher, W. 1972[1854].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New York: Arno Press.
Rubel, M. 1971[1957]. Karl Marx. Essai de biographie intellectuelle, Paris: Rivière et Cie.
Smith, A. 1961[1776]. The Wealth of Nations, vol. 1. London: Methuen.
Spinoza, B. 1955. “Letter to Jarig Jellis, 2 June 1674.” in On the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and Other Works. New York: Dover.
Stalin, J. 1941[1938]. Dialectical and Historical Materialism. London: Lawrence & Wishart.
Vischer, F. T. 1975[1846–57]. Ästhetik oder Wissenschaft des Schönen. Hildesheim: Olms.
Watt, I. 1951. “Robinson Crusoe as a Myth.” Essays in Criticism, vol. I, No. 2: 95–119. Weber, M. 1949[1904]. “‘Objectivity’ in Social Science and Social Policy.” in The Methodology of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The Free Press.